'고용증가 둔화' 7월 취업자 17만명↑…20대 쉬었음 42만 '최대'(종합)

  • 등록 2025.08.13 10:32:15
크게보기

제조·건설·청년 고용부진 지속…숙박음식업 3년8개월만 최대폭 감소



(세종=연합뉴스)  7월 취업자 수가 17만명가량 늘면서 2개월 연속 10만명대 증가 폭을 이어갔다.

제조업·건설업 고용 부진과 청년 일자리 부족이 이어지면서 전반적으로 고용증가세가 둔화하는 양상이다. 특히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20대 '쉬었음'이 42만1천명으로 7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천902만9천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1천명 늘었다.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3월 19만3천명을 기록한 후에는 4월(19만4천명), 5월(24만5천명), 6월(18만3천명) 모두 20만명 안팎에 머물고 있다. 두 달째 축소하며 지난 2월(13만6천명) 이후로는 최소치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취업자가 7만8천명 줄며 13개월째 감소했다. 건설업 취업자 또한 건설경기 불황으로 9만2천명 줄어서 15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두 업종 모두 전월보다는 감소 폭이 축소됐다.

내수를 보여주는 숙박음식업 취업자도 7만1천명 감소하며 3개월 연속 줄었다. 감소 폭이 코로나19 와중이던 지난 2021년 11월(-8만6천명) 이후 3년8개월 만에 가장 컸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 국장은 "소비쿠폰이 조사 기간 이후에 발행돼 아직 효과가 반영돼있지 않다"며 "음식·주점업에서 많이 감소했고, 숙박업은 증가세"라고 설명했다.

농림어업도 12만7천명 줄었다. 농·어가가 구조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더해 4월 한파·냉해, 7월 폭염·폭우 등 이상 기후 영향으로 4개월 연속 10만명대 '마이너스'다.

업계 취업자 감소와 함께 농림어업 숙련종사자도 13만명 감소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6만3천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9만1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4만2천명)과 30대(9만3천명)에서는 취업자가 늘고, 20대(-13만5천명)에서는 크게 줄어드는 현상이 이어졌다. 특히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5만8천명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가 31만9천명 증가했고, 임시근로자도 1만6천명 늘었다. 반면 일용근로자는 4만8천명 줄었다.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 등 비임금근로자도 11만6천명 감소했다. 

고용률(15세 이상)은 63.4%로, 작년 동월보다 0.1%포인트(p) 상승했다. 7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70.2%로 0.4%p 높아졌다.

다만 15∼29세의 청년층 고용률은 0.7%p 하락하면서 45.8%를 기록했다.

실업자는 72만6천명으로 작년보다 1만1천명 줄었다. 실업률은 2.4%였다. 1999년 관련 통계 기준 조사 이래 7월 기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취업자와 실업자를 포괄하는 경제활동 인구는 2천975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16만명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00만4천명으로 전년보다 8천명 늘었다.

이 가운데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6만9천명 증가했다. 

특히 20대 쉬었음은 42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5천명 늘었다. 200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로 7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국제일보 기자 kjib@kookjeilbo.com
<저작권자 ⓒ 국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법인명 : 주식회사 국제일보 | 제호 : 국제일보 | 등록번호 : 인천 아01700 | 등록일 : 2008년 6월 2일 | 발행인ㆍ편집인ㆍ대표이사 회장 : 최동하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9, 203호 (부평동, 이레빌딩) | 대표전화 : 032-502-3111 | 발행일 : 2008년 8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동하 국제일보의 모든 컨텐츠(기사ㆍ사진)는 저작권법 보호에 따라 무단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