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들렌에게서 온 편지_제2화 / 김별

  • 등록 2025.08.16 21:27:51
크게보기

A Letter From Madelein


나는 하루 종일 원고와 씨름 하다 문득 울리는 핸드폰을 열었다. 


아버지였다. 귀찮은 마음이 들었다. 


첫 번째 소설을 마무리하는 중이었다. 분위기가 끊어지는 게 싫었다. 


어쩔 수 없이 통화 버튼을 눌렀다.


왜요? 아빠? 진아, 오늘 엄마 9번째 기일인 거 알고 있지? 


잊고 있었다. 세월 탓을 했다. 


네..그럼요..


집에 일찍 오거라. 


네. 그때 봐요. 아빠. 


마음 한 켠이 뒤죽박죽 내려 앉고 있었다. 


쓰고 있던 소설의 맨 마지막 장이, 순간 펜을 멈추게 만들었다. 


아.., 왜, 지금 이 순간에..,


그때, 우리집 고양이 미미가 내 손등 위로 올라 앉았다. 


잡고 있던 커피가 내 허벅지로 쏟아졌다.


미미! 이게 무슨 짓이야!’괜히 고양이에게 화풀이를 하고 있었다. 


그리고, 햇살이 내리 쬐고 있는 바지를 보았다. 반짝반짝 빛이 나고 있었다. 


물끄러미 쳐다보다 문득 한 기억이 떠올랐다. 


엄마가 돌아가시기 전까지 입던 바지이다. 


병환으로 옷 입는 거마저 입기 힘들어했던, 매일 같은 옷만 입고 있었던, 그 바지이다. 


순간 나의 냉혹함과 무관심을 비난하며 하염없이 눈물을 쏟았다. 


서둘러 옷을 갈아 입고 집을 나섰다. 아버지에게로. 


엄마가 돌아가신 지 3년이 흘렀다. 


난, 어느새 글을 쓰기 시작했고, 아버지와 내 동생은 슬픔을 거짓으로 가두고 


일상을 버티고 있었다. 


아니, 그랬던 거 같다. 70대 중반으로 접어 들은 아버지는 현역에서 은퇴했고,


집에서 무기력함을 한껏 내보이며 도와 달라고 소리치는 거 같았다. 


그렇게 한 몸이었던 피아노는 몇 년 째 작은 방에 방치되었다. 


물어보지는 않았다. 왜 피아노를 안치시는지.. 


아버지의 슬픈 미소를 뒤로 하고 홀로 피아노 방에 들어갔다. 


너무도 오랜만이다. 엄마가 가시고 이 방에 들어 온 적이 없었다. 


트라우마가 나를 덮치고 있었기 때문이다. 깨끗하게 닦여져 있는 피아노를 바라 보았다. 


엄마와의 젊은 시절 사진, 아버지와의 연애 시절의 모습이다. 


환하게 웃고 있는 흰백의 엄마.. 두려운거겠지?.. 


이제 이것을 보고도 웃을 수 없으니, 난 애써 입술을 꽉 조이며 그 방을 나섰다.


김별  |  글 쓰는 연주자

국제일보 기자 kjib@kookjeilbo.com
<저작권자 ⓒ 국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법인명 : 주식회사 국제일보 | 제호 : 국제일보 | 등록번호 : 인천 아01700 | 등록일 : 2008년 6월 2일 | 발행인ㆍ편집인ㆍ대표이사 회장 : 최동하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9, 203호 (부평동, 이레빌딩) | 대표전화 : 032-502-3111 | 발행일 : 2008년 8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동하 국제일보의 모든 컨텐츠(기사ㆍ사진)는 저작권법 보호에 따라 무단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