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11년 만에 방한…이달 30일부터 2박3일 국빈방문(종합)

  • 등록 2025.10.24 17:24:57
크게보기

경주서 트럼프-李대통령과 연쇄 정상회담…차기 APEC 정상회의 개최국 정상으로 연설도
'아직은 어색' 한중관계 제스처 주목…북한 문제 등도 논의 가능성


(베이징=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30일부터 2박3일 일정으로 한국을 국빈 방문한다고 중국 외교부가 24일 발표했다.

시 주석의 국빈 방한은 박근혜 전 대통령 시절인 2014년 이후 11년 만이다.

중국 외교부는 "대한민국 이재명 대통령의 초청에 응해 시진핑 국가주석이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한국 경주에 가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제32차 비공식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한국에 대한 국빈 방문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국과 한국은 이웃 국가이자 협력 파트너"라며 "중국은 중한 관계를 중시하고, 대(對)한국 정책은 안정성과 연속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궈 대변인은 "이번 방문은 시진핑 주석이 11년 만에 한국에서 진행하는 국빈 방문이며,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중한 정상의 첫 만남"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은 한국과 함께 수교의 초심을 지키고 선린 우호와 호혜 윈윈을 견지하면서 중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끊임없는 전진·발전을 추동할 용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시 주석은 이번 국빈 방문 기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30일), 이재명 대통령(11월 1일)과 연쇄 정상회담을 열 예정이다. 차기 APEC 정상회의 개최국 정상으로서 이번 APEC 연설도 예정돼있다.

올해 초부터 고율 관세와 무역 보복을 주고받으며 갈등을 빚어온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면 회담이 한국에서 성사되면서 양국의 대치 국면이 분수령을 맞게 됐다.

시 주석은 이 대통령 취임 직후인 지난 6월 전화 통화로 인사를 나눴고, 직접 얼굴을 마주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 집권기 한미일 공조 강화와 윤 전 대통령의 대만해협·남중국해 발언 등에 중국이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얼어붙은 한중 관계는 아직은 다소 어색한 상태다.

중국 관영매체 등 조야에선 '실용 외교'를 표방한 이 대통령이 '미국 일변도'에서 벗어나 중국과의 관계에도 무게를 실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의 경제적 관계가 상호보완에서 경쟁 관계로 변화했고, 미중 경쟁과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 심화, 중국의 공세적 대외 정책 속에 한국이 '안미경중'(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같은 노선을 선택하기는 어려운 구조 안에 놓였다는 평가에 힘이 실리는 상황이다.

이 대통령 역시 지난 8월 미국 워싱턴DC 강연에서 "한국이 과거처럼 이 같은 태도(안미경중)를 취할 수는 없는 상황이 됐다"면서 "최근 몇 년 사이 자유 진영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진영 간 공급망 재편이 본격적으로 벌어지고 미국 정책이 명확하게 중국을 견제하는 방향으로 갔다. 이제는 한국도 미국의 기본적인 정책에서 어긋나게 행동하거나 판단할 수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젊은 계층을 중심으로 중국에 대한 인식이 악화한 현실에서 시 주석이 한국에 어떤 제스처를 취할지에도 관심이 모인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희토류 등 전략 광물 수출 통제와 양국 기업의 경영 활동 장애물 등 경제 문제와 '핵 보유국'을 선언한 북한 문제 등이 논의 테이블 위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아울러 시 주석이 양국 문화 교류에 장애물이 없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온 만큼 2016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태 이후 이어지고 있는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문제에서 전향적 태도를 보일 수 있다는 예측도 제기된다.

국제일보 기자 kjib@kookjeilbo.com
<저작권자 ⓒ 국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법인명 : 주식회사 국제일보 | 제호 : 국제일보 | 등록번호 : 인천 아01700 | 등록일 : 2008년 6월 2일 | 발행인ㆍ편집인ㆍ대표이사 회장 : 최동하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9, 203호 (부평동, 이레빌딩) | 대표전화 : 032-502-3111 | 발행일 : 2008년 8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동하 국제일보의 모든 컨텐츠(기사ㆍ사진)는 저작권법 보호에 따라 무단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