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 [연합뉴스 자료사진] / 연합뉴스](http://www.kookjeilbo.com/data/photos/20250835/art_17561234731909_911b2a.jpg)
(서울=연합뉴스) 지난 윤석열 정권에서 이재명 대통령 또는 민주당 관련 의혹을 수사한 검사와 김건희 여사 '봐주기 수사' 논란에 휩싸인 검사들이 대거 검찰을 떠난다.
이재명 정부 첫 검찰 중간간부 인사에서 이들 다수가 한직으로 밀려난 여파로 풀이된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종현(사법연수원 33기) 대검찰청 공공수사기획관은 지난 22일 법무부에 사직서를 제출했다.
김 기획관은 2004년 서울중앙지검 검사로 임관해 법무부 검찰국 공안기획과 검사,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 대검 검찰연구관·형사정책담당관, 중앙지검 공공수사1부장 등을 거쳤다. 그는 과거 수원지검 공공수사부장으로 재직하며 이재명 대통령의 '변호사비 대납 의혹' 사건을 수사했다.
김영철(33기) 서울북부지검 차장검사도 이날 검찰 내부망인 이프로스에 사직 인사를 올렸다.
김 차장은 2004년 의정부지검 검사로 시작해 국정농단 수사팀, 대검찰청 반부패부 파견,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장, 대검 반부패1과장 등을 거쳤다.
그는 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과 문재인 정부 인사들의 한국복합물류 취업청탁 의혹 사건 수사를 이끌었다.
과거 최서원(개명 전 최순실)씨의 조카 장시호씨에 대한 위증교사 의혹 등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됐으나 무혐의 처분을 받기도 했다.
지난 21일 단행된 법무부 고검검사급(차장·부장검사) 인사에서 김 기획관은 부산지검 서부지청장, 김 차장검사는 부산고검 검사로 각각 발령됐다.
호승진(37기) 대검 디지털수사과장과 이일규(34기) 북부지검 국가재정범죄합동수사단장도 사직 의사를 밝혔다.
호 과장은 과거 이재명 대통령의 측근인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금품 수수 의혹을 수사했고, 이 단장은 지난해 민주당 신영대 의원의 새만금 태양광 비리 사건을 수사해 재판에 넘겼다. 이번 인사에서 호 과장은 법무연수원 교수, 이 단장은 대구고검 검사로 각각 전보됐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했던 검사들도 사의를 표명했다.
서울중앙지검에서 명태균 의혹 전담 수사팀을 이끌어온 이지형(33기) 부산지검 2차장과 김 여사 명품가방 수수 사건을 무혐의 처분한 김승호(33기) 중앙지검 형사1부장도 검찰을 떠난다. 이들은 각각 대전고검 검사, 부산고검 검사로 발령 났다.
이번 인사에서 제주지검 형사1부장으로 발령난 김정훈(36기) 대검 범죄정보1담당관도 인사 직후 사표를 냈고 '공안통'인 이재만(36기) 대검 노동수사지원과장도 안동지청장으로 발령났지만 사의를 표명했다.
이밖에 김 여사 명품가방 수수 사건 수사 지휘 라인에 있던 박승환(32기) 중앙지검 1차장과 '윤석열 사단'으로 불리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시절 '여의도 저승사자'로 통하는 남부지검 증권범죄합수단장을 맡았던 단성한(32기) 고양지청장은 인사 전에 사표를 내고 의원면직됐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민주당이 내달 검찰청 폐지와 공소청·중수청(중대범죄수사청) 설립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를 예고하며 검찰개혁 고삐를 죄는 분위기 속에 당분간 검사들의 이탈 행렬이 이어질 거란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