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내년 예약제 도입한다…"고객관리 체계 필요"

  • 등록 2025.10.28 14:11:58
크게보기

유홍준 관장, 취임 100일 간담회…"천하장사 아닌 프로야구처럼 돼야"
"K-컬처 정점, 기쁨보다 걱정 앞서"…"한국 미술 코어, 세계서 소개"


(서울=연합뉴스) 국립중앙박물관이 연간 관람객 500만명 시대를 연 가운데,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 예약제를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은 28일 서울 용산구 박물관 교육관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유료화 (논의)에 앞서 예약제 등 고객관리 통합 시스템을 먼저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08년 5월부터 상설 전시관을 무료로 운영 중이다.

해외 주요 박물관·미술관, 민간 단체 등과 함께 주관하는 기획전은 유료 관람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특별전 가격은 전시마다 1만∼1만9천원 수준이다.


유 관장은 최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유료화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유료화 시점과 방식을 여러 가지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유 관장은 관람객 수를 줄이기 위한 목적은 아니라고 분명히 했다.

이달 20일 기준 국립중앙박물관의 연간 관람객은 510만3천709명으로, 소속 지역 박물관 13곳을 모두 합친 총관람객 수는 1천154만5천983명으로 집계됐다.

그는 "박물관에 오는 사람을 막기 위해서 유효화할 생각은 없다"며 "유료화하면서도 (지금과 같은) 500만명대를 유지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유료화 논의에 앞서 관람객 현황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유 관장은 "현재 관람객 통계를 낼 때 연령, 국적으로 나누는 게 불가능하다"며 "예약제를 도입하면 젊은 세대는 인터넷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그는 온라인 예약이 어려운 세대를 위해서도 "현장에서 간단한 (관람객) 정보를 입력하고 무료 티켓을 발권하는 식"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예약제를 비롯한 시스템 구축은 아직 확정 단계가 아니다.


유료화 논의와 관련해서도 문화체육관광부를 중심으로 논의가 필요하다.

이용신 교육문화교류단장은 "올해 관련 예산으로 5억원을 요청한 상황"이라며 "예산이 확정되면 시스템을 구축해 여름 성수기 전인 내년 상반기에 실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관장은 "입장료를 받을지 말지, 어느 정도까지 무료로 할지, 재관람은 어떻게 할지 등 논의할 부분이 많다"며 "국·공·사립 박물관에 주는 파급 효과도 크다"고 설명했다.

그는 "문체부에서 내년에 공청회를 열어 심도 있게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며 "유료화 여부를 놓고 다양하고 현명한 방안"을 내놓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날로 취임 100일째를 맞은 유 관장은 "K-컬처가 가장 잘나갈 때 국립중앙박물관장이 되어서 기쁨보다는 걱정이 앞서는 게 사실"이라고 소회를 털어놨다.

그는 "피크(peak·정점)는 내려갈 길밖에 없다는데"라고 말하고는 "(취임 100일이 아니라) 100년이 된 것 같다"며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

"프로야구처럼 잘 되는 게 아니라 천하장사 씨름 대회처럼 올라갔다가 지금은 어떻게 됐는지 모르는 상태로 갈 수 있기에 하는 걱정입니다."

유 관장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국의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영문 책자를 발간해 간담회 참석자들에게 나눠주기도 했다.


유 관장은 최근 관람객 중에는 재관람 비율도 높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속 지역박물관까지 활성화된 어린이박물관, 미디어아트와 실감 영상을 활용한 전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인기 등을 그 이유로 꼽았다.

그러면서 "주차장, 카페 등 편의시설 부족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동선을 분산해서 관람객이 들어오는데 문제없도록 (연구) 용역도 발주했다"고 말했다.

유 관장은 앞으로 보여줄 전시가 더 많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미국 스미스소니언에서는 이건희 전시가 워싱턴에서 열린 뒤 시카고, 런던을 순회할 예정"이라며 "내년 프랑스에서는 신라 금관 전시가 계획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취임 직후 밝힌 '한국 미술 5천년' 해외 전시와 관련해 "한국 미술의 코어(core·핵심)를 모아 세계에서 순회전을 이어가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제일보 기자 kjib@kookjeilbo.com
<저작권자 ⓒ 국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법인명 : 주식회사 국제일보 | 제호 : 국제일보 | 등록번호 : 인천 아01700 | 등록일 : 2008년 6월 2일 | 발행인ㆍ편집인ㆍ대표이사 회장 : 최동하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9, 203호 (부평동, 이레빌딩) | 대표전화 : 032-502-3111 | 발행일 : 2008년 8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동하 국제일보의 모든 컨텐츠(기사ㆍ사진)는 저작권법 보호에 따라 무단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