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혁 대표, 5·18 묘지참배 무산…경찰·시민 충돌 '아수라장'

  • 등록 2025.11.06 17:44:02
크게보기

일부 시민, 추모탑 앞 장 대표 명의 근조화환 훼손
장 대표, 시민단체 항의 받아 추모탑까지 갔다가 돌아서



(광주=연합뉴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를 시도했으나 광주 시민사회단체의 거센 항의에 부딪혀 끝내 무산됐다.

장 대표는 이날 오후 1시 35분께 수행원과 함께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 도착했다. 

차량에서 내린 그는 지지자들과 함께 참배 공간으로 향하는 입구인 '민주의 문'에 다다랐으나 통행로 바닥에는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3∼4명이 미리 자리를 잡고 앉아 몸으로 출입을 막았다. 

이들은 장 대표 일행이 접근하자 경찰의 제지에도 "물러가라", "사죄부터 하라"고 외치며 길을 가로막았다.

장 대표가 모습을 드러내자 이들은 "내란옹호 장동혁", "오월영령 참배할 자격 없다", "광주를 떠나라" 등이 적힌 피켓을 들고 연신 구호를 외쳤다.

경찰은 돌발 상황에 대비해 수십 명의 인력을 배치하고, 시민단체와 장 대표 일행 사이에 인간 띠를 형성했다. 

그러나 양측이 밀고 밀리는 과정에서 경미한 몸싸움이 벌어지는 등 현장은 일시적으로 아수라장이 됐다.

혼란 속에서도 장 대표는 항의를 뚫고 천천히 발걸음을 옮겨 추모탑 앞까지 도착했다. 

그러나 시민단체의 반발이 계속되자 헌화와 분향은 하지 못했고 잠시 고개를 숙인 뒤 발길을 되돌렸다.

일부 시민은 추모탑 앞에 놓인 장 대표 명의 근조화환을 넘어뜨리거나 훼손하기도 했다.



당초 장 대표는 묘역에 안장된 5·18민주화운동 열사들의 묘역도 찾아 개별 참배를 이어갈 계획이었으나 현장 상황이 악화되면서 일정은 전면 취소됐다.

참배를 저지한 한 단체 관계자는 "민주의 문조차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싶었지만 끝내 참배를 막아내 영령들 앞에 부끄럽지 않을 수 있었다"며 "광주 시민의 뜻을 모아 5·18정신을 훼손하는 정치행위를 용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조국혁신당 광주시당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 "장동혁 대표는 내란적 발상을 정당화하고 5·18을 폄훼해온 그릇된 인식을 버리지 않는 한 계엄의 총칼 아래 희생된 영령들이 잠든 묘역에 발을 디딜 자격이 없다"며 "광주시민의 이름으로 방문을 불허한다"고 밝혔다.

국제일보 기자 kjib@kookjeilbo.com
<저작권자 ⓒ 국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법인명 : 주식회사 국제일보 | 제호 : 국제일보 | 등록번호 : 인천 아01700 | 등록일 : 2008년 6월 2일 | 발행인ㆍ편집인ㆍ대표이사 회장 : 최동하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9, 203호 (부평동, 이레빌딩) | 대표전화 : 032-502-3111 | 발행일 : 2008년 8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동하 국제일보의 모든 컨텐츠(기사ㆍ사진)는 저작권법 보호에 따라 무단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