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공자도 장애인 등록 허용

  • 등록 2009.10.26 17:12:20
크게보기

국가유공상이자 ·준국가유공자 10만 여명 장애인 복지시책 혜택

앞으로는 국가유공상이자와 준국가유공자도 장애인 복지시책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국민권익위원회(이재오, ACRC)는 국가유공상이자와 준국가유공자는 장애인 등록을 하지 못하도록 한 현행 장애인복지법을 개정토록해 관련부처인 보건복지가족부가 장애인 시책과의 이중수혜 등 법령상 문제 정비 후 이를 개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동안은 국가유공상이자와 준국가유공자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장애인에 해당되는데도 장애인 등록을 하지 못해, LPG차량을 사용할 수 없는 준국가유공자가 장애인 등록을 위해 준국가유공자 등록 취소를 요청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번에 관련법이 개선되면 장애인인 국가유공상이자와 준국가유공자들의 경우 장애인 등록 후 전국에 있는 장애인 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특히 국가유공자 혜택과 장애인 복지시책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있던 준국가유공자(약 1,000명)도 전기·가스·통신료 감면과 LPG차량 이용과 같은 장애인 복지 시책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제도개선으로 받을 수 있게 된 혜택은 다음과 같다.

- 국가유공상이자: 장애인 생활·복지(재활, 편의, 자립지원)시설 이용, 장애인 관련 사업 참여

- 준국가유공자: 교통·통신·전기·가스 이용료 감면, 세금·공공시설 이용료 감면, LPG 차량 이용 허가

현재 국가보훈처에 등록되어 있는 국가유공상이자와 준국가유공자는 10만 여명에 달하며, 이중 장애인 등록을 원하는 사람은 자신의 주소지 관할 시·군·구에 장애인등록신청서를 접수한 후 장애등급 판정을 위한 심사를 받으면 장애인 등록이 가능하다.

한편 관련부처인 보건복지가족부와 국가보훈처는 국가유공자와 준국가유공자가 장애인으로 등록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이중수혜(서비스중복) 제한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국가유공자와 준국가유공자의 장애인 등록이 가능해지면서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최동하 기자
<저작권자 ⓒ 국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법인명 : 주식회사 국제일보 | 제호 : 국제일보 | 등록번호 : 인천 아01700 | 등록일 : 2008년 6월 2일 | 발행인ㆍ편집인ㆍ대표이사 회장 : 최동하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9, 203호 (부평동, 이레빌딩) | 대표전화 : 032-502-3111 | 발행일 : 2008년 8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동하 국제일보의 모든 컨텐츠(기사ㆍ사진)는 저작권법 보호에 따라 무단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