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풍당당 콘텐츠 코리아 펀드’ 2150억원 조성

  • 등록 2016.01.28 22:01:45
크게보기

문체부, 문화·ICT 융합펀드 등 융복합콘텐츠 활성화 지원

문화체육관광부는 2016년 모태펀드 문화계정을 통해 2150억 원 규모의 ‘위풍당당 콘텐츠 코리아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6개의 신규 펀드 조성을 통해 문화계정에서 운용하는 콘텐츠 펀드 규모는 1조 5000억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융합 콘텐츠, 문화-정보통신기술(ICT) 융합펀드 등 성장잠재 분야에 750억 원, 영세기업·제작초기 및 콘텐츠가치평가 연계 등 취약 분야에 300억 원이 출자된다. 가치평가 연계 펀드에는 정부의 우선손실충당 제도가 도입·운영된다.


 


문체부는 지난해 12월 개관한 문화창조벤처단지 입주기업과 영세 콘텐츠 기업 등 문화산업 전반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성장잠재 분야와 취약 분야의 펀드 조성 일정을 앞당길 계획이다.


 


문체부는 우선 융·복합 콘텐츠가 ‘기획-제작-구현-재투자’의 선순환 체계로 구축될 수 있도록 ‘융합콘텐츠 전문 펀드’를 확대·조성할 예정이다.


 


450억 원 규모의 융합콘텐츠 펀드 조성과 정부부처 간 협력으로 300억 원 규모의 문화-정보통신기술(ICT) 융합 펀드를 조성한다.


 


이와 함께 한중 공동제작 활성화를 통한 중국 진출 지원을 위해 500억 원 규모의 한중 문화산업 공동발전 펀드와 400억 원 규모의 컴퓨터그래픽(CG)&애니메이션 펀드도 조성될 예정이다.


 


한편 문체부는 2011년 이후부터 수익률 등의 이유로 민간 분야의 투자가 저조한 콘텐츠산업 취약 분야 전문펀드를 꾸준히 조성해 왔다.


 


올해도 영세기업·제작초기 기업 및 프로젝트에 투자할 3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


 


이와 함께 2016년부터 도입되는 ‘콘텐츠 가치평가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콘텐츠 가치평가 전문펀드를 200억 원 규모로 조성한다. 이 펀드에 ‘정부 우선손실충당’ 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는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가치평가보고서를 바탕으로 투자 프로젝트의 손실 시 정부가 일정 부분 우선적으로 손실을 보전에 주는 제도로 중소 콘텐츠기업의 무형자산에 대한 가치평가를 통해 민간 금융권의 투자 활성화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체부는 모태펀드 운용 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벤처캐피털 등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다. 콘텐츠 각 분야에서의 표준계약서 적용을 확대하고 특정 장르에 투자가 편중되는 것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과 특히, 문화계정 수익률 제고를 위한 방안도 마련해 반영할 예정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위풍당당 콘텐츠 코리아 펀드’ 조성이 융복합 콘텐츠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고 우리의 우수한 콘텐츠를 해외 시장에 널리 알릴 수 있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16년 ‘위풍당당 콘텐츠 코리아 펀드’의 세부적인 출자기준과 규약 관련 내용은 29일 한국벤처투자 누리집에 게시되는 공고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제일보 기자 kookje@kookjllbo.com
<저작권자 ⓒ 국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법인명 : 주식회사 국제일보 | 제호 : 국제일보 | 등록번호 : 인천 아01700 | 등록일 : 2008년 6월 2일 | 발행인ㆍ편집인ㆍ대표이사 회장 : 최동하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9, 203호 (부평동, 이레빌딩) | 대표전화 : 032-502-3111 | 발행일 : 2008년 8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동하 국제일보의 모든 컨텐츠(기사ㆍ사진)는 저작권법 보호에 따라 무단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