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고효율 선진 항만 구현을 위한 연구개발 착수”

  • 등록 2009.10.15 20:56:46
크게보기

고효율항만하역시스템 연구개발… 항만운영비용 대폭 절감 기대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는 국제적으로 항만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친환경적이면서 물류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고효율, 자동화 항만 하역장비 기술개발을 위한「고효율항만하역시스템 연구개발(R&D)사업」을 2009.10월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고효율항만하역시스템 연구개발 사업」은 4개의 세부과제로 구성되며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종합물류연구원, 동아대학교 등 14개 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 참여하여 5년간 200억원(정부 150억원, 민간 5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고효율항만하역시스템 연구개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1과제 : 야드 크레인의 생산성 향상(시간당 컨테이너 처리능력 현재 25개→30개이상)을 위한 “고효율 ATC(Automated Transfer Crane : 자동화 야드크레인) 기술개발”

- 제2과제 : 야드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인 RTGC(Rubber Tired Gantry Crane : 타이어형 야드 크레인)의 무인화를 통하여 운영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RTGC 무인자동화 기술개발”

- 제3과제 : 각종 야드장비중 유류장비의 전기대체, 회생전력 사용 등의 저탄소, 에너지 절감을 위한 “하역장비 에너지 절감시스템 기술개발”

- 제4과제 : 산화물(곡물, 사료 등) 하역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의 확산방지를 위한 “비산방지시스템 기술개발”로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화물의 증가,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항만서비스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하역장비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장비 가격은 컨테이너 크레인이 대당 약 80~100억원, 야드 크레인이 약 30억원에 달하는 등 부가가치가 높은 기술분야 사업의 하나이다.

국토해양부는 고효율항만하역시스템 기술개발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 되어 기존 하역장비에 적용될 경우 ①RTGC의 경우 대당 연간 1억원(국내 총 214대 적용시 약 220억원)의 운영비용 절감, ②ATC의 경우 대당 약 20%의 생산성 향상 및 연간 1.2억원의 운영비용 절감 효과가 예상되며, 또한 배기가스, 소음, 분진의 저감으로 녹색 선진항만의 구현과 하역장비의 수입대체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동하 기자
<저작권자 ⓒ 국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법인명 : 주식회사 국제일보 | 제호 : 국제일보 | 등록번호 : 인천 아01700 | 등록일 : 2008년 6월 2일 | 발행인ㆍ편집인ㆍ대표이사 회장 : 최동하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9, 203호 (부평동, 이레빌딩) | 대표전화 : 032-502-3111 | 발행일 : 2008년 8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동하 국제일보의 모든 컨텐츠(기사ㆍ사진)는 저작권법 보호에 따라 무단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