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왼쪽부터),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후보가 5월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프리즘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2025.5.22. / 연합뉴스](http://www.kookjeilbo.com/data/photos/20250521/art_17479050502774_9e2a3a.jpg)
(서울=연합뉴스) 6·3 대선이 12일 앞으로 다가온 12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영남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를 앞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9일부터 전날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천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에 따르면 이같이 나타났다.
이 후보는 전체 지지율에서 46%를 기록해 김 후보(32%)를 14%포인트(p) 앞섰다.다만, 지지율 격차는 지난주(22%p)보다 줄어든 수치로, 선거를 앞두고 국민의힘 지지층의 결집 양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두 후보의 수도권에서 격차도 지난주 같은 조사와 비교해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이번 조사에서 처음으로 10%를 기록했다.
'태도 유보'(없음·모름·무응답)는 10%로 지난주(16%)보다 낮아졌으며, 무당층 비율도 지난주(48%)보다 줄어든 42%로 나타났다.
◇ 양당 텃밭은 공고…부·울·경에선 김문수가 역전
각 후보의 지지율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이재명 후보는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과 울산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김 후보를 앞섰다.
민주당의 텃밭인 호남(광주·전라)에서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은 77%로 압도적 1위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난 대선 때 호남에서 기록한 80%대의 지지율(광주 84.8%·전남 86.1%·전북 82.9%)에는 못 미쳤다.
반면 김문수 후보는 국민의힘 텃밭인 영남에서 유일하게 이재명 후보를 꺾고 1위를 차지했다.
TK에서는 김문수 후보가 49%를 기록하며 이재명 후보(26%)를 앞섰다. 다만 지난 대선 때 이재명 후보가 TK에서 받았던 지지율(대구 21.6%, 경북 23.8%)과 비교하면, 이재명 후보가 선전하고 있다는 평가다.
부·울·경에서는 김문수 후보가 43%, 이재명 후보가 36%를 기록해 김문수 후보가 오차범위 밖에서 이재명 후보를 앞섰다. 지난주 이재명 후보가 40%로 김문수 후보(34%)를 앞섰던 결과가 역전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오른쪽부터)·개혁신당 이준석·민주노동당 권영국·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5월 18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프리즘센터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1차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2025.5.22. / 연합뉴스](http://www.kookjeilbo.com/data/photos/20250521/art_17479050717574_7fa2e6.jpg)
◇ 수도권 격차 축소…충청에선 이재명 우세 확대
수도권에서는 전반적으로 이재명 후보가 우세를 보였지만, 지난주에 비해 격차는 눈에 띄게 줄었다. 국민의힘 지지층이 결집하고 있는 양상으로 풀이된다.
서울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42%, 김문수 후보가 36%를 기록하며 오차범위 내인 6%p 차로 접전을 벌였다. 지난주 18%p 격차에서 크게 줄어든 수치다.
인천·경기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50%로 김문수 후보(29%)를 크게 앞섰지만, 지난주(이재명 55%·김문수 21%)의 34%p 격차에 비하면 차이가 21%p로 축소됐다.
강원·제주에서도 두 후보 간 격차가 줄었다. 지난주에는 이재명 후보 40%, 김문수 후보가 18%로 22%p 차이를 보였지만, 이번 주에는 각각 48%, 38%로 지지율 차가 10%p로 좁혀졌다.
선거 때마다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는 충청권에서는 이재명 후보의 우세가 이어졌다.
대전·세종·충청에서 이재명 후보는 45%로 김문수 후보(26%)를 앞섰다. 지지율 차도 지난주(이재명 43%·김문수 29%) 14%p에서 이번 주 19%p로 벌어졌다.
◇ 무당층 42%는 '지지 후보 없다'…이재명, 보수층서도 20% 지지
지지 정당별로 보면 민주당 지지층의 결집도가 높았고, 국민의힘 지지층 역시 지난주보다 결집하는 흐름을 보였다.
민주당 지지층의 95%는 이재명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주(94%)보다 1%p 올라간 수치다. 민주당 지지층 가운데 김문수 후보를 지지한다는 응답은 없었고, 이준석 후보와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를 지지한다는 응답은 각각 1%에 불과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은 89%가 김문수 후보를 지지한다고 답했다. 지난주(81%)보다 8%p 올라간 수치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이재명 후보를 지지한다는 응답이 2%, 이준석 후보를 지지한다는 응답이 5%였다.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층에서는 '지지하는 후보가 없거나 모른다'는 유보 응답이 42%로 가장 높았다. 이밖에 이준석 후보를 지지한다는 응답이 21%, 이재명 후보는 19%, 김문수 후보는 17%로 비슷한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념 성향별로 보면 중도층에서 이재명 후보 지지도가 50%로 가장 높았다. 중도층에서 김문수 후보를 지지한다는 응답은 21%, 이준석 후보를 지지한다는 응답은 14%였다.
진보층에서는 81%가 이재명 후보를 지지했고,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에 대한 지지도는 각각 11%, 3%에 그쳤다.
보수층에서는 김문수 후보가 64%로 압도적 지지를 받았지만, 이재명 후보도 20%를 얻으며 이준석 후보(10%)의 두 배에 달하는 지지율을 기록했다.

◇ 대부분 연령대서 이재명 강세…70세 이상은 김문수 우위
연령별로 보면 60대와 7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이재명 후보가 우세했다.
특히 40∼49세(65%)에서는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이 60%를 넘겨 강한 지지를 보였다.
60∼69세 응답층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42%, 김문수 후보가 47%로 두 후보 간 지지율 격차가 오차범위 이내에서 팽팽했다.
70세 이상 응답층에서만 김문수 후보가 56%로 이재명 후보(36%)를 앞섰다.
18∼29세 연령층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30%, 이준석 후보가 26%로 역시 오차범위 이내 박빙 양상을 보였고, 김문수 후보는 17%에 그쳤다.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응답률은 26.7%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