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 ‘졸음’ 유발…운전 시 사용 주의

  • 등록 2024.03.20 18:38:19
크게보기

식약처, ‘항히스타민제’ 사용법 안내…종합 감기약 복용 시 성분 확인

봄철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인 ‘항히스타민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졸음으로, 장거리 운전 시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부 종합 감기약에 항히스타민제 성분이 포함된 경우가 있으므로 중복 투여하지 않도록 복용 전 성분을 확인하고, 의·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일 봄철 꽃가루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어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를 자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항히스타민제의 올바른 사용정보를 안내했다. 

한편 알레르기성 비염은 꽃가루, 진드기, 동물의 털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한 인체 내 면역반응으로 콧물, 재채기, 코막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주요 매개체인 히스타민의 작용을 막아 콧물과 재채기 등을 완화하는 데 사용하며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이 있다.

여기서 히스타민은 외부 자극에 대해 인체가 빠르게 방어하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이다. 

먼저 일반의약품은 로라타딘, 세티리진, 클로르페니라민, 펙소페나딘 성분 등이 있으며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다. 

전문의약품은 데스로라타딘, 베포타스틴 성분 등이 있으며 의사 처방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재채기, 코막힘, 가려움, 눈 따가움 등 알레르기성 비염 등에 효능·효과가 있는 항히스타민제는 일반적인 정제와 어린이를 위한 시럽제가 있다.

다만 정제와 시럽제 모두 전신에 작용하므로 복용 전 의사·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고 사용설명서를 꼼꼼히 읽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항히스타민제의 가장 대표적인 부작용은 졸음이므로 장거리 운전 시 항히스타민제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우기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약물인 항우울제나 알코올 등과 함께 복용하면 졸음이 더욱 심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항히스타민제는 복용 후 심박동 이상, 염증, 위장장애, 소화불량, 갈증 등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과량 복용 때 중추신경 억제, 녹내장, 전립선 비대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즉시 복용을 중단하고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며, 임신 중 혹은 수유 중인 부인이나 6세 미만 소아는 복용하기 전 반드시 의·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의약품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와 같은 안전사용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국제일보 기자 kjib@kookjeilbo.com
<저작권자 ⓒ 국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법인명 : 주식회사 국제일보 | 제호 : 국제일보 | 등록번호 : 인천 아01700 | 등록일 : 2008년 6월 2일 | 발행인ㆍ편집인ㆍ대표이사 회장 : 최동하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9, 203호 (부평동, 이레빌딩) | 대표전화 : 032-502-3111 | 발행일 : 2008년 8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동하 국제일보의 모든 컨텐츠(기사ㆍ사진)는 저작권법 보호에 따라 무단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