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동시, 도청 이전·출산장려 정책 영향 분석
경북도청 이전 영향으로 안동시의 인구가 5년 연속 증가하고 있다. 2013년 12월 말 기준, 안동지역 인구는 모두 16만8천461명으로 집계돼 2012년 16만8천302명보다 159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한 인구수는 적지만 의미는 크다는 게 안동시의 입장이다. 안동 인구는 1974년 27만여 명에 달했으나 1976년 안동댐 건설 등으로 매년 2천여 명 감소했다.
안동 인구가 35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때는 2009년. 이 해 132명이 늘었다. 2010년에는 454명, 2011년 271명, 2012년 145명으로 조금씩 증가했다.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한 2009년은 경북도청이 안동으로 이전을 결정(2008년 6월)한 다음 해이다.
특히 지난해 인구증가는 도청신도시 개발지역 주민 이주, 건동대 폐교 등 인구감소 요인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증가했다.
안동시의 출산장려 정책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첫째 아이는 매월 10만 원, 둘째 12만 원, 셋째 20만 원을 2년 동안 지급하는데 지난해 지급액은 44억 원이었다. 2004년 1천411명이던 출생은 2009년 이후에는 매년 1천500명 선을 유지하고 있다.
서혁수 안동시 행정지원실장은 “올 연말 도청 직원 전입과 임하면 소재 경찰기숙학원 개원 등 본격적인 인구 유입이 시작돼 인구증가는 계속 될 것”이라며 “전입 주민이 불편함이 없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최태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