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후속조치 추진계획 보고회 개최
경상북도가 대통령 신년구상에 맞춘 후속조치에 잰걸음을 보이고 있다. 도는 중앙부처와 연계한 국책사업 유치를 위해 13일 도청 제1회의실에서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후속조치 계획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서 대통령 신년구상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함께 도에서 실천해야 할 과제와 국정과제와의 연계로 중앙의 지원을 이끌어 내기 위한 세부 실천계획이 보고됐다. 앞으로 경북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할 주요과제는 총 25개 과제이다.
공공기관 정상화, 규제 총량제, 창조경제 혁신센터 설치, 탈북민 정착지원, 문화융성 활성화, 농식품 수출 기업육성, 친환경 에너지타운 유치, 5대(입시·취업·주거·보육·노후) 불안해소 대책, 농공단지 지원 네트워크 구축, 동해안 철도의 유라시아 철도연결, 여성의 경력단절 해소 등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신년구상에서 발표된 ‘비정상의 정상화’가 국정과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핵심축으로 부각됐다. 이에 따라 도는 비정상의 정상화 사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지방적 실천의지를 확산한다는 복안이다. 이와 관련 도는 실국장 및 과장급의 인사에 따른 행정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년초부터 주말도 반납하고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아울러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시 전 직원이 실시간으로 TV 시청을 하고, 관련 후속조치 계획을 수립하느라 밤늦게까지 업무에 집중하고 있다. 또 올해는 박근혜 정부의 출범 2년차를 맞아 본격적인 국책사업이 추진되는 만큼, 지역의 주요 현안사업을 조기에 구체화, 가시화 한다는 계획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지난해의 성공적인 기운을 그대로 이어서 올해는 시작부터 도정 현안을 꼼꼼히 챙겨 더 큰 성과로 도민들에게 보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는 지난해 전 직원이 국정과제의 지방적 실천에 매진하고 중앙부처 계획과 연계한 지역발전 정책 발굴에 매진한 결과 국비 10조원 시대를 여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최태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