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경북 경주시 인왕동에 있는 ‘경주 인용사지’(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40호)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33호 '경주 인왕동 사지'로 지정한다고 28일 밝혔다.
인왕동 사지는 2002년부터 2011년까지 4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중문‧쌍탑‧금당‧강당‧회랑을 기본으로 하는 신라의 전형적 가람배치를 기본으로 하면서도 다른 신라 사찰과 비교되는 독특한 건축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문 자리에는 유례가 드문 ‘아(亞)’자형 건물지가 있고 쌍탑은 여느 사찰과 달리 금당의 좌우측면 남북축선 안쪽에 위치한다. 또한, 백제 지역에서 주로 나타나는 와축기단을 구축했으며, 통일신라 시대의 전형적 양식을 보여주는 석탑은 팔부중이 명확하게 조각되어 있는 것도 특징이다.
지진구는 건물을 지을 때 좋지 않은 땅의 기운을 누르기 위해 묻는 의례용 유물로서 인왕동 사지에서 확인된 지진구는 신라 시대 지진구를 묻는 방식에 대한 연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중요한 유물로 가치가 높다. 아울러 출토된 청자, 백자 등 중국 자기를 통해 신라와 당나라의 교역에 관한 내용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발굴조사에서는 절의 이름이 새겨진 명문기와 등 인용사 터임을 밝힐 수 있는 유물은 출토되지 않아 지정명칭을 '경주 인왕동 사지'로 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 경상북도, 경주시 등과 협력해 이번에 사적으로 지정된 ‘경주 인왕동 사지’를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할 계획이다.
'경주 인왕동 사지' 전경. (사진=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