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장관 : 정종환)는 전국 15개 다목적댐의 평균 저수율이 56%로 전년의 106%, 예년의 89% 수준이며 특히, 낙동강유역의 저수율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밝혔다.
전국 14개 용수댐 평균 저수율은 51%로 전년의 103%, 예년의 78% 수준이며 광동댐의 저수율은 67%로 전년의 120%, 예년의 99%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는 금년 9월까지의 전국 평균 강수량이 1,163㎜로 예년의 97% 수준이며, 8~9월 평균 강수량이 413㎜로 예년의 49% 수준에 그치고 있고, 특히, 낙동강 유역의 강수량이 149㎜(예년대비 32%)로 상대적으로 적게 왔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국토해양부는 장기적으로 비가 오지 않을 것에 대비하여 용수공급에 지장이 없도록 가뭄 단계별 용수공급계획에 따라 지난 9월 11일부터 낙동강유역의 댐용수를 단계별로 조정하여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내년 우기전(6.20)까지 한국수자원공사가 관리하는 전국 29개댐(다목적댐 15개, 용수댐 14개)의 용수공급 가능량은 총 77억㎥(‘08.10-’09.6월 유입량 적용)으로, 필요수량은 57억㎥을 상회하며 금년초에 제한급수로 어려움을 겪었던 광동댐의 경우에도 용수공급가능량이 12백만㎥으로 필요수량은 11백만㎥을 상회하여 댐에서 용수를 공급 받는 지역은 용수공급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국토해양부는 앞으로도 가뭄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가뭄상황에 따라 댐 비상용수공급, 조사용 관정 활용 등 가뭄 단기대책을 실시할 예정이다
단기대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광역·지방상수도 간 비상연결관로(31개시군, 2,076천㎥/일)를 활용한 용수지원
둘째 차량(16대, 131톤)·급수탱크(88개, 223톤)·병물(500㎖, 105,000개)·시설장비·인력 등 지원
셋째 지하수 조사 관정(320개소, 21천㎥/일)을 용수지원용으로 활용
넷째 가뭄이 악화되어 댐 용수공급에 지장이 있을 경우, 댐 저수위 이하 비상용량(16억㎥) 공급
다섯째 가뭄지역에서 지하수 개발 등을 위해 장비·인력이 필요한 경우 우리부 산하기관(5개 지방청, 수공 등)으로 하여금 적극 지원
여섯째 하천 수질악화에 대비하여 댐 저수지 및 광역상수도 수질관리 강화 등
무엇보다도, 기후변화로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뭄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기 위해서는 충분한 물그릇 확보가 필요하다고 보고 안정적인 수자원확보를 위해 장기대책으로 건설중인 5개댐을 차질없이 건설하고 환경친화적인 중소규모 신규댐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금년중 댐건설장기계획 보완)
* 건설(5개) : 성덕, 화북, 부항 등 / 신규(9개) : 송리원, 보현 등
기존 광역상수도의 급수체계를 조정하여 ‘11년까지 206만㎥/일의 여유물량을 물부족 지역에 전환·공급하는 한편, 댐 건설이 어려운 지역은 지역특성에 부합되게 지하댐, 강변여과수, 해수담수화 등 다양한 수자원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