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공연예술 산업에서 뮤지컬의 티켓 판매액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예술경영지원센터와 함께 국내 공연시설 및 단체의 운영 현황과 실적을 조사한 ‘2016 공연예술 실태조사(2015년 기준)’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우리나라 공연예술 티켓 판매액은 3633억 원, 장르별로는 뮤지컬이 1975억 원으로 전체 티켓 판매액의 절반 이상인 54.4%를 차지했다.
티켓 판매액을 포함한 국내 공연예술 산업의 2015년 전체 매출액은 7815억 원으로 1년 전 7593억 원보다 2.9%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증가는 중동호흡기증후군으로 인해 공연계가 어려움을 겪었으나 추경예산 등의 공연 활성화 정책을 추진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문체부는 설명했다.
전체 매출 가운데 티켓판매 수입 3633억 원이 46%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전시·교육 등 공연 외 수입 1182억 원, 공연단체 작품 판매 수입 및 공연 출연료 1116억 원, 공연장 대관 수입 101억 원 등이었다.
장르별 티켓 판매액 규모를 살펴보면 ▲뮤지컬 1975억원(54.4%) ▲연극 729억원(20.1%) ▲양악 321억원(8.8%) ▲복합 99억원(2.7%) ▲국악 90억 원(2.5%) ▲무용 70억원(1.9%) ▲오페라 63억원(1.7%) 등의 순이다.
티켓 판매액을 장르별로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조사대상에서 대중음악 콘서트는 제외했다.
뮤지컬은 개인 수요층이 탄탄한 데다 수출할 정도로 경쟁력이 높아 국내 공연예술 시장에서 가장 활성화돼 있다고 문체부는 분석했다.
전국 공연장의 2015년 한 해 실적은 공연 건수 3만5452건(25.3% 감소), 공연 일수 13만6568일(12.5% 감소)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