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현판, 원래 색상 찾는다

  • 등록 2017.07.17 17:32:04
크게보기

문화재청, 12월까지 과학적 분석 연구 추진

 
문화재청은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과 함께 오는 12월까지 원래 색상을 두고 논란이 있는 광화문 현판 색상을 새로 정하기 위해 ‘광화문 현판 색상 과학적 분석 연구’를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현재 걸려있는 광화문 현판은 흰색 바탕에 검은 글자로,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리건판(필름 이전에 사용된 사진 저장물, 1916년경 촬영)과 일본 동경대학교가 소장한 유리건판(1902년경 촬영) 속의 현판 색상을 고증의 근거자료로 삼아 만들어졌다.


그러나 지난해 2월 지금의 현판 색상과는 달라 보이는 미국 스미소니언박물관 소장의 현판 사진이 새롭게 발견되면서 색상 자문회의와 문화재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새롭게 과학적 분석 연구를 하게 됐다.


연구는 현판 색상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색상의 실험용 현판을 축소 모형으로 제작해 실험용 현판에 인공조명을 비춰보는 실험을 마친 후 실물 크기의 실험용 현판을 시간과 날씨 등을 고려하여 광화문 현판에 고정한 뒤 촬영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게 된다.


실험용 현판은 ▲흰색 바탕에 검은색·코발트색 글씨 ▲검정 바탕에 금색·금박·흰색 글씨 ▲옻칠 바탕에 금색·흰색 글씨 ▲코발트색 바탕에 금색·금박 글씨 등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된다.


사진촬영은 고(古)사진의 촬영방법과 같은 유리건판 전용 카메라와 현대적 촬영방법인 디지털카메라 두 가지를 모두 활용해 촬영한 다음 고사진과 비교분석해 광화문 현판의 본래 색상을 밝혀낼 예정이다.


다만 이달 말부터 시간·날씨 등을 고려해 진행예정인 실물 크기의 실험용 현판에 대한 현장 촬영 시에는 고사진의 촬영지점을 추정하여 촬영하므로 광화문 주변의 일부 도로에 대한 차량 통제도 계획돼 있어 시민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현재 재제작 중인 광화문 현판은 틀 제작과 각자(刻字) 작업까지는 완료된 상태다. 문화재청은 과학적 분석을 통한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전문가 자문회의와 문화재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광화문 현판 색상을 결정하고 이후 단청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국제일보 기자 kookje@kookjllbo.com
<저작권자 ⓒ 국제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버전으로 보기

법인명 : 주식회사 국제일보 | 제호 : 국제일보 | 등록번호 : 인천 아01700 | 등록일 : 2008년 6월 2일 | 발행인ㆍ편집인ㆍ대표이사 회장 : 최동하 본사 :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9, 203호 (부평동, 이레빌딩) | 대표전화 : 032-502-3111 | 발행일 : 2008년 8월 1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동하 국제일보의 모든 컨텐츠(기사ㆍ사진)는 저작권법 보호에 따라 무단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