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오름세인 아파트와 달리, 전국 연립·다세대(빌라) 시장에서는 3채 중 1채꼴로 전셋값이 하락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부동산 분석·중개업체 집토스가 2023년 상반기와 올해 상반기 전국 빌라 실거래 데이터를 비교·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 기간 지하층을 제외하고 동일 주소·면적으로 1건 이상의 전세 거래가 있었던 1만4천550개 타입 가운데 4천641개(31.9%)에서 전세 보증금이 떨어졌다.
빌라 3채 가운데 1채는 지난 2년 동안 전셋값이 계약 당시보다 하락하면서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제대로 돌려주지 못하는 '역전세' 상황이 벌어진 것이라고 집토스는 해석했다.
같은 기간 전국적으로 빌라 전셋값 하락 폭은 대구(-9.7%), 인천(-7.0%), 세종(-5.2%), 대전(-4.3%), 부산(-3.5%) 등의 순으로 컸다.
반면 서울(2.4%)과 경기(0.5%)는 빌라 전셋값이 소폭 상승하면서 수도권에서도 온도 차를 보였다.
특히 인천의 경우 '역전세 발생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70.2%로 나타났다.
빌라 전셋값이 하락한 대구(64.3%), 부산(48.0%), 대전(44.1%) 등도 높은 역전세 발생 비율을 기록했다.
아울러 집토스가 역전세 발생 빌라를 상대로 지난 2년 동안의 보증금 낙폭을 조사했더니 이 기간 전국적으로 보증금이 1억8천268만원에서 1억6천518만원으로 1천751만원(-10.3%)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역전세 발생 빌라의 평균 하락액이 가장 큰 곳은 광주광역시(-3천364만원)였고, 대구(-2천524만원)와 제주(-3천750만원) 등에서도 높은 하락액을 기록했다.
서울(-1천800만원)과 경기(-1천786만원) 역시 역전세가 발생한 집주인이 약 1천800만원의 보증금을 추가로 마련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증금 반환 위험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됐다.
집토스는 "올해 상반기 아파트는 전세 수요가 몰리며 가격이 오르고 세입자의 보증금 증액 부담이 커졌다"면서 "반면, 빌라는 전세 사기 여파 등으로 수요가 위축되며 전셋값이 하락해 집주인의 보증금 반환 위험이 커지는 정반대의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또 "6·27 부동산 대책이 향후 빌라시장의 전세가 하방 압력을 더욱 키울 수 있다"며 "대책에는 청년·신혼부부·신생아 버팀목 전세대출의 한도를 축소하는 내용이 포함됐는데, 상품에 따라 한도가 적게는 4천만원에서 많게는 6천만원까지 줄면서 이들 대출을 주로 이용해 보증금을 마련하던 빌라 세입자들의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