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5 (수)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여행

안전한 여름휴가 전국 50곳 ‘한적한 해수욕장’에서

해수부 “연간 이용객 5만명 미만으로 밀집·밀접 피할 수 있어”

올 여름휴가는 붐비지 않는 한적한 해수욕장으로 떠나보는 건 어떨까.


해양수산부는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위험을 줄이고 조용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전국의 한산한 해수욕장 50곳을 소개했다.



한적한 해수욕장은 연간 이용객이 5만명 미만으로 이용객 간 밀집·밀접 접촉을 피할 수 있으며 주변 자연환경이 뛰어나고 편의시설이 잘 갖춰진 곳 중에서 선정된다.


해수부는 지난해 전국 23곳 한적한 해수욕장을 통해 이용객 분산 효과가 있었던 것을 고려, 올해는 50곳으로 이를 확대했다.


지역별 한적한 해수욕장은 강원지역 12곳, 경북지역 5곳, 경남지역 7곳, 전남지역 13곳, 전북지역 3곳, 충남지역 7곳, 인천과 제주가 각각 1곳씩이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해수욕장이 있는 강원도의 양양에 위치한 북분 해수욕장은 울창한 소나무 숲과 캠핑장이 해변가와 잘 어우러져 휴식하기 좋다. 인근에 문화재로 지정된 하조대와 죽도정 등이 있어 가족과 함께 여름휴가지로 방문하기에도 적합하다.


전라남도에는 덴마크 코펜하겐의 환경교육재단(FEE)이 안전·수질·환경 분야 등에서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해수욕장에 부여하는 국제인증인 ‘블루플래그 인증’을 받은 해수욕장인 신안의 대광 해수욕장과 완도의 예송 해수욕장이 있다.


신안 대광 해수욕장은 12km 이상 고운 모래가 펼쳐져 있는 해수욕장으로 파라솔 아래 의자에 앉아서 보는 노을이 특히 환상적이다. 완도 예송 해수욕장은 해변을 둘러싼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40호)과 해변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충청남도 기지포 해수욕장은 태안해안국립공원에 위치해 자연환경이 잘 보전되어 있고 경사가 완만한 모래사장이 넓게 펼쳐져 있다. 또 해안사구 자연관찰로가 있어 사구 식물들을 관찰하면서 산책하기에 좋다. 인근에는 갯벌체험지, 안면암, 안면도 쥬라기 박물관 등 관광지가 다양해 어린 자녀가 있는 가족이 함께 방문하기 좋다.


올해 한적한 해수욕장 50개소는 ‘바다여행 누리집(www.seantou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준철 해수부 해양레저관광과장은 “올 여름 휴가철에는 가족과 함께 이용객이 붐비지 않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한적한 해수욕장을 찾아 그간의 답답한 마음을 날려보내며 즐거운 추억을 만드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해수부는 해수욕장을 방문하기 전에 인터넷 포털 누리집 네이버와 ‘바다여행(www.seantour.kr)’에서 해수욕장 혼잡도 신호등을 확인해 이용객이 많은 해수욕장 방문을 가급적 피하고 사전예약제 해수욕장을 이용할 것을 당부했다.






전국

더보기
전남도, 과잉생산 전복 생산비 구조 연구로 산업 체질 개선 【국제일보】 전라남도는 과잉 생산과 홍수 출하에 따른 가격 하락 등으로 어려운 전복 양식업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대응책 마련을 위해 생산비 구조 분석 연구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전남도에서 전남연구원, 전복 양식 어업인과 함께 진행한다. 전복 양식업의 원가 구조를 체계화하고 양식 규모와 지역에 따라 세분화한 생산단가를 산출해 생산 효율성과 경영 안정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양식 규모별 생산비 구조(100칸 이하·100∼200칸·300칸 이상) ▲전복 가두리 등 시설투자비, 인건비, 유류비, 감가상각비 등을 고려한 생산 원가 분석 ▲판매 미수별·양성 기간별 원가 산출 등이다. 또한 기존 마리수별 판매 방식에서 벗어나 생산원가를 반영한 새로운 판매모델을 제시해 전복 판매 가격 표준화 모델을 마련하고, 출하 시점 최적화로 어가의 수익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그 결과를 토대로 전복 양식업의 운영 실태를 진단, 구조 개선 방안과 정책 수립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어업인에게도 현실적 생산 기준을 제시할 수 있어 전복 산업의 지속가능성과 시장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전창우 전남도 친환경수산과장은 "전복 산업이 직면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