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7 (월)

  • 흐림동두천 3.3℃
  • 흐림강릉 8.5℃
  • 서울 4.5℃
  • 대전 4.7℃
  • 흐림대구 5.6℃
  • 구름많음울산 6.0℃
  • 흐림광주 6.6℃
  • 구름많음부산 7.2℃
  • 구름많음고창 7.9℃
  • 구름조금제주 8.7℃
  • 흐림강화 4.5℃
  • 흐림보은 3.7℃
  • 흐림금산 4.1℃
  • -강진군 2.9℃
  • 구름조금경주시 5.1℃
  • 구름많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분열로 패망한 기독교 역사의 교훈 / 최동하



소는 한번 빠진 웅덩이에 두 번 빠지지 않고, 개는 한번 데인 불에는 두 번 데이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사람은 한번 당한 실패를 두 번 당하는 수가 많다. 이유는 인간의 죄로 인한 욕심 때문이다. 인간의 욕심은 정상적인 판단력을 흐리게 한다.


사기를 당하는 사람은대체로 어리석어서 당하기보다 자신의 욕심을 앞세우기 때문에 당하는 경우가 많다. 내가 1천만 원 투자하면 1억 원이 온다는 사기꾼의 말에 현혹되어 1천만 원을 쉽게 사기꾼에게 건네는 것이다. 회개하고 성령을 받은 그리스도인도 그 속에 똬리를 틀고 있는 욕심이라는 유혹을 쉽게 떨치지 못한다. 경제적 욕심만이 그런 것이 아니다. 명예욕과 권력욕도 마찬가지이다.


기독교는 서방에서 1900여년 동안 돌다가 19세기 말에야 한국땅에 상륙하여 한국인에게 본격적으로 전파되었다. 초기 로마 사회에서 출발한 역사적 기독교는 그 전파 과정에 수많은 부침이 있었다. 그 가운데 가장 큰 위협은 이슬람이었다. 622년에 모하멧이 일어 킨 이슬람은 곧바로 기독교 세계를 침범해 왔다.


그들은 기독교인들은 신앙심이 없는 “개자식들”이라고 단정하고 죽이거나 잡아다가 노예로 부리는 것이 신(알라)의 뜻이라고 생각 했다.


그리하여 기독교의 주요 도시들이 차례로 점령당했다. 다메섹이 635년에 점령되고, 그 이듬해 636년에는 시리아가 점령되었으며, 638년에는 예루살렘이 점령되었다.


또 북 아프카의 알렉산드리아는 642년에, 메소포 다미아는 650년에 무너졌다. 그리고 670년에는 비쟌탄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이 공격당했고, 697년에는 카르타고가 이슬람의 손에 넘어갔다. 이들 모두가 기독교의 중심 도시들이었다.


어느 시대 어떤 사회든 단결하지 않으면 모두 망한다는 사실을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진리이다. 그것도 강력한 적이 눈앞에 이르렀는데도 비잔틴제국의 그리스 교회(동방)와 교황이 지배하는 로마교회(서방)는 692년부터 분열을 시작했다. 동·서 교회가 하나가 되어 대항했다면 이슬람이 그렇게 빠른 속도로 기독교 세계를 점령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기독교인들은 이슬람 해적들에게 끌려가, 쇠사슬을 차고 ‘목욕장’에 갇혀 강제 노역과 노예생활에 내몰리고 있는 동안 기독교는 그 기간에 동·서로 나뉘어 교리 논쟁과 이단 시비에만 열중했다.


요즘 우리 사회에 기독교를 곡해하고 폄훼하는 세력이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다. 좌파들은 정치적 목적으로, 타 종교인 들은 시기심으로, 철없는 논객들은 편협함에서 기독교를 공격한다. 그리고 여기에는 ‘이단들’의 발호도 한몫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극단적인 사람들은 아예 기독교를 우리 사회에서 몰아내겠다다고 호언하고 있다.


한국교회의 위기라 할 수 있다. 그런데도 한국교회는 분열해있다. 어딘가 믿는 구석이 있는진 몰라도 적전(敵前) 분열(分裂)은 반드시 패망의 지름길임은 기독교 역사가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하나 되면 이 모든 공격을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 한국교회는 오늘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역사의 교훈을 얻어야 한다.


최동하 발행인





전국

더보기
보은군, 상인 역량강화 위한 '결초보은상권 상인대학' 개강 보은군은 12월 8일까지 결초보은상권 활성화를 위한 결초보은상권 상인대학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인대학은 보은군이 주관하고 결초보은상권활성화사업추진단 주최로 진행되며 결초보은상권 활성화 구역의 상인 50명을 대상으로 역량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지난 23일 결초보은시장상인회 회의실에서 열린 개강식에는 최재형 보은군수, 최부림 보은군의회의장, 상인 등 60명이 참석한 가운데 결초보은상권 활성화를 위한 마음가짐과 포부를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교육은 제이에스서비스 송지환 대표, 미래인재양성연구소 전계화 소장, 쇼호스트 윤지우 등 상권 활성화를 위한 전문 강사를 초빙해 ▲편리한 지불 결제 ▲고객 신뢰 ▲위생 청결 ▲상인조직 역량 강화 등 전통시장 5대 핵심 과제인 결재편리, 고객신뢰, 위생청결, 상인조직강화, 안전관리를 중심으로 12월 8일까지 10회에 걸쳐 교육이 이뤄질 계획이다. 결초보은상권 활성화 구역은 ▲결초보은시장 ▲보은전통시장 ▲터미널 상권 ▲먹자골목 상권 ▲싸전골목 상권 등 총 5개 상권으로 보은읍 상권 대부분을 아우른다. 군은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상권 활성화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30억원, 도비 9억원, 군비 21억원 등 총 6

피플

더보기
‘순국선열의 날’ 양일석·최인규 선생 등 67명 독립유공자 포상 국가보훈부는 제84주년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양일석 선생(애족장), 민병구 선생(건국포장), 최인규 선생(애족장) 등 67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15일 밝혔다. 양일석 선생은 1921년 11월 전남 목포에서 사립 영흥학교 재학 중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군비 축소 관련 ‘워싱턴 회의’가 열리자 한국 독립 문제의 상정을 촉구하기 위해 만세 시위를 벌이다 체포돼 징역 10월을 선고받았다. 법정에서 ‘독립운동은 평소 소신’이라고 당당히 밝혀 한인 청년의 넘치는 기개와 독립운동에 대한 변함없는 확신을 보여줬다. 민병구 선생은 1933년 부산에서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조선총독부의 민족 차별적 학교 교육에 반대하는 동맹휴교에 참여하다 무기정학을 받았다. 또 1939년 일본 야마구치 고등학교 재학 중 비밀결사 ‘여우회’ 활동으로 체포되는 등 식민지 하의 억압적 교육 환경 속에서 국내와 일본을 넘나들며 학생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최인규 선생은 1940년 강원 삼척군에서 천곡교회 권사로 재직 중 조선총독부의 신사참배·동방요배 등 황국신민화 정책에 반대하다 체포돼 징역 2년을 선고받고 옥중 순국했다. 보훈부는 일제 말기 신사참배·동방요배 등 황국신민화 정책에 반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