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26 (일)

  • 맑음동두천 -4.7℃
  • 맑음강릉 0.5℃
  • 맑음서울 -2.7℃
  • 맑음대전 -3.7℃
  • 맑음대구 -1.0℃
  • 맑음울산 -0.2℃
  • 맑음광주 -1.2℃
  • 맑음부산 1.6℃
  • 맑음고창 -5.3℃
  • 구름많음제주 3.4℃
  • 맑음강화 -5.3℃
  • 맑음보은 -6.8℃
  • 맑음금산 -7.1℃
  • 맑음강진군 -0.4℃
  • 맑음경주시 -1.9℃
  • 맑음거제 2.5℃
기상청 제공

기고ㆍ투고

【기고】 대학(大學)이 사는 길 / 김병연


예전에는 대학 졸업 시즌이 되면 꼭 보도되는 기사가 있었다. 대학 수석 졸업자와 수석 졸업자가 받은 졸업 학점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수석(首席) 졸업자가 받은 대단한 대학 졸업 학점(學點)에 경이(驚異)를 표하곤 했었다.
 
그런데 요즘은 이러한 기사를 만나기도 힘들 뿐만 아니라 보도되더라도 특별한 이야깃거리가 되지 못한다. 전 학년 A⁺를 받은 학생을 만나는 것이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그동안의 신문 보도에 따르면 H대학은 75%의 학생이, S대학은 61%의 학생이 A학점을 받았다. 셋 중 둘은 A학점을 받은 것이다. 이런 지경이면 A학점을 받지 못한 학생이 오히려 이상하다. 이러니 수석 졸업자의 성적(成績)이 무슨 뉴스거리가 되겠는가.
 
필자는 학점이 부풀려진 원인으로 대학의 양적 팽창과 그릇된 제자 사랑을 지적하고 싶다. 현재 대학(大學) 진학자는 고등학교 졸업자의 70%(한때는 84%) 정도이고 원하는 일자리는 이에 크게 못 미치는 상황이다. 1980년대를 지나면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속도는 그 전에 비해 둔화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에 대학은 엄청난 양적 성장을 했다. 이제는 국내에서 신입생을 수급하기 힘들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대학입학정원을 강제(強制)로 감축(減縮)해야 될 지경에 이르렀다.
 
구조적으로 구직자가 일자리보다 크게 많아졌다. 이런 취업 환경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 대학들이 성적을 남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 되고 보니 학점이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취업지원자의 성적은 이제 지원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지 못한지 오래다. 인기 있는 기업에는 A학점을 받은 지원자들이 넘쳐 난다. 이러니 인사 담당자들이 어찌 성적을 평가 대상으로 하겠는가. 이런 현상은 학점의 불신을 넘어 대학 교육 자체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기업들은 언제부턴가 대학의 학점 대신 다른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여기에 합당한 결과물을 지원자들에게 요구하고 있다. 대학에서 주는 영어 학점 대신 토플 성적이나 토익 성적을 요구하고, 그것도 믿을 수 없게 되자 어학연수를, 그것도 믿을 수 없게 되자 이제 직접 영어 면접을 실시하고 있다. 또 직무 능력을 믿을 수 없어 대학 외부에서 실시하는 공모전(公募展) 입상 성적을 요구하거나 인턴이나 연수 실적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피해를 보는 측은 학생들이다. 대학에서는 우수한 학점을 받으려고 경쟁해야 하고, 흔히 말하는 취업 스펙(spec)을 쌓으려고 발버둥을 쳐야 한다. 시간과 경제적 희생이 너무도 크다. 대학 등록금(登錄金)만 해도 만만치가 않은데 해외 연수도 다녀와야 하고 취업 스펙을 쌓기 위해 학원(學院)도 다녀야 한다.
 
이 시대의 학생들은 우리 역사상 가장 우수한 능력을 가진 학생들인 데도 불구하고 가장 큰 희생을 치르고 있다. 커다란 사회적 낭비이다.
 
모든 구직자(求職者)가 영어를 잘할 필요도 없고 공모전(公募展)에서 우승할 만한 능력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우리 사회 대부분의 일자리가 그런 대단한 능력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알다시피 많은 일자리에서는 영어(英語)가 필요 없다. 그리고 일상적인 단순 업무가 대부분이다. 그러니 사회적으로 엄청난 낭비(浪費)를 하고 있는 것이다.
 
대학이 먼저 달라져야 한다. 기업에서는 대학생들의 과도한 능력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 바라지도 않았는데 보너스로 대단한 능력을 키워오는데 누가 마다하겠는가. 기업으로서는 어찌 보면 횡재인 셈이다. 대학 학점(學點)만으로도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하는 시대로 돌아가야 한다.
 
대학은 학생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 제대로 평가하려면 학생 평가방식을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바꾸되, 학점별 강제분포비율을 적용해야 한다. 이를 법률이나 대통령령으로 정하여 대학마다 학점별 비율을 일정하게 하고 학점의 변별력을 높여야 한다. 학점에 대한 장기적 불신은 대학의 불신으로 이어지고 대학 붕괴라는 비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제는 제자리로 돌아가야 한다. 대학(大學)은 제대로 가르치고 제대로 평가(評價)해야 한다. 그것이 대학이 사는 길이다.


김병연 | 시인/수필가




전국

더보기
고흥군, 농업단체 대표와 '농업분야 대도약' 간담회 개최 전남 고흥군(군수 공영민)이 24일 군청 흥양홀에서 농업인과 함께 농정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해 농·축산관련 직능단체 대표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농업분야 대도약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민선 8기 농정시책 추진 방향과 핵심과제를 각 단체와 공유하고, '10년 후 고흥인구 10만 비전' 달성을 위한 농업의 역할 모색 등 농업분야 대도약 전환기 마련을 위해 각 단체별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소통의 시간으로 마련됐다. 주요 내용으로 각 분야별 핵심 사업인 ▲농정분야의 공공비축미곡 매입품종 및 고흥군 통합온라인쇼핑몰 '고흥몰' 홍보, 전략직불금 시행, 친환경농업 인증품목 다양화 추진 ▲축산분야의 스마트축산 ICT한우단지 조성 추진 ▲농업기술센터의 농기계임대사업소 운영, 우량종구 보급체계 구축, 종합검정실 운영 ▲스마트팜 분야의 혁신밸리사업, 임대형스마트팜 조성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지역 농업발전과 고흥군의 힘찬 도약을 위해 민관이 함께 뜻을 모으기로 했다. 고흥군은 농정분야의 본격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농정 관련 2023년 예산액 1천297여억원을 확보해 재정적 기반을 마련하는 등 농업인의 소득 증대에 최선을

피플

더보기
진종오·이상화, 청소년올림픽 조직위원장 맡는다 한국 첫 올림픽 사격 3연패를 달성한 ‘사격의 신’ 진종오와 아시아 선수 최초 스피드스케이팅 올림픽 2연패를 일군 ‘빙속 여제’ 이상화가 2024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신임 조직위원장으로 선임됐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 제2기 조직위원회 출범식에서 신임 조직위원장과 신임 임원에게 각각 위촉장을 수여했다. 박 장관은 제2기 조직위 출범을 축하하고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를 통해 ‘K-컬처와 스포츠로 하나 되는 세계’를 선보여, 미래세대의 선수들이 대한민국을 문화매력국가로 기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대회에 많은 관심을 당부했다. 이날 선임된 이상화 조직위원장은 아시아 선수 최초로 스피드스케이팅 올림픽 2연패를 달성한 금메달리스트로,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한 빙상의 전설이다. 진종오 조직위원장 역시 한국인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올림픽 사격 종목 3연패의 전설적 기록을 일군 금메달리스트로, 현재 대한체육회 이사와 국제사격연맹(ISSF) 선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두 조직위원장은 각각 동계·하계를 대표하는 젊은 선수 출신으로, 이번 대회의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