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6 (일)

  • 맑음동두천 -1.8℃
  • 구름많음강릉 1.5℃
  • 구름많음서울 0.0℃
  • 맑음대전 -2.6℃
  • 맑음대구 -1.5℃
  • 맑음울산 1.1℃
  • 맑음광주 0.4℃
  • 구름조금부산 4.7℃
  • 맑음고창 -3.4℃
  • 맑음제주 4.9℃
  • 흐림강화 -0.4℃
  • 맑음보은 -4.4℃
  • 맑음금산 -4.0℃
  • 맑음강진군 -1.8℃
  • 맑음경주시 -3.4℃
  • 구름조금거제 3.5℃
기상청 제공

기고ㆍ투고

【기고】 송구(送舊)의 자세 / 김병연


영국이 낳은 세계적 문호(文豪) 셰익스피어는 끝맺음이 좋아야 모든 것이 좋다고 했다. 유종의 미(有終의 美)란 우리말도 있다.
 
시작도 중요하지만 끝은 더욱 중요하다. 작심삼일(作心三日)은 수치이고 용두사미(龍頭蛇尾)는 더 큰 수치이다. 최후의 승리자가 진짜 승리자이다.
 
한 해가 또 지나간다. 어느덧 한 해가 서서히 저물어 간다. 다사다난(多事多難)했던 한 해가 대단원(大團圓)의 막을 서서히 내리고 있다.
 
우리 지난날을 반성해 보자. 반성 없는 삶은 발전이 없다. 조용히 자신을 성찰하고 힐문하고 책망하자. 그래야 삶은 발전이 있다.
 
한 해를 보내면서 세 가지 물음을 자신에게 던져보자. 첫째, 나는 얼마나 성실(誠實)하게 살았는가. 둘째, 나는 얼마나 남과 비교(比較)하지 않는 삶을 살았는가. 셋째, 나는 얼마나 보람 있게 살았는가.
 
먼저 성실의 거울 앞에 서자. 사적인 일이든 공적인 일이든 최선을 다했는가. 만심(慢心)의 노예가 되어 경거망동하지는 않았는가. 남편의 전처소생을 이유 없이 미워하지는 않았는가. 로비(학연·지연·혈연 등의 빽, 금품, 향응, 아부, 선물, 줄서기 등)의 노예가 되어 연공서열을 철저히 무시한 채 근무평정을 하여 피평정자로부터 원성을 사지는 않았는가. 연세도 많으신데 승진 생각하지 말고 좀 더 다니다 명퇴나 하시라고 하여 타인으로부터 미친놈이란 평가를 받지는 않았는가. 직원의 부인이 암이란 진단을 받고 입원했는데 그 직원에게 한마디 위로의 말도 하지 않아 ‘자격 미달 관리자’라는 평가를 받지는 않았는가. 책임을 타인에게 전가하려 하지는 않았는가. 작은 이해와 물욕에 눈이 어두워 자신을 속이고 남을 속이지는 않았는가. 자신의 위치를 망각한 채 자리만 지켜 월급 도둑이란 평가를 받지는 않았는가. 자신의 영달을 위해 국가에 충성하지 않고 상사에 충성한 일은 없었는가. 자신의 본분을 망각하고 부패와 몰지각한 행동을 하지는 않았는가. 무시와 경멸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아프게 하지는 않았는가. 작은 조직이나마 이끌어야 될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면 따뜻한 가슴이 있었는가. 사촌이 땅을 샀다고 배가 아픈 적은 없었는가. 올챙이 시절을 까마득히 잊고 오만한 적은 없었는가. 자기에게 불리한 말은 직접 대놓고 한 말이 아니면 못 들었다고 하지는 않았는가. 사랑하는 가족을 위해 얼마나 헌신했는가. 자신의 발전을 위해 열심히 노력했는가 등 자신의 모습을 성실의 거울에 비춰보고 양심에게 물어보자.
 
둘째로 나는 남과 비교하지 않는 삶을 살았는가 하는 것이다. 남과 비교하지 않는 삶을 사는 사람이 현명한 사람이다. 자신과 남을 비교하면 할수록 불행은 가속화되기 십상이다.
 
꽃과 나무는 자신과 남을 비교하지 않고 저마다 특성을 드러내면서 조화를 이루고 산다. 비교는 시샘과 열등감을 낳아 불행으로 이어지기 십상이다.
 
행복으로 가는 첩경(捷徑)은 자신과 남을 비교하지 않는 삶을 사는 것이다. 나는 남과 비교하지 않는 삶을 살았는가를 자문자답(自問自答)해 보자.
 
셋째로 나는 얼마나 보람 있게 살았는가 하는 것이다. 보람은 가치 판단의 기준이요 행복의 산실이다. 허송세월에는 보람이 없다. 권태로운 생활과 방만한 생활에서도 보람을 찾기는 어렵다. 얼마나 보람 있게 살았는가를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전술한 세 가지 물음에 자답자성(自答自省)하면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을 보내자.
 
마지막 달의 아름다움 속에 내면(內面)으로 젖어드는 아픔과 회한(悔恨)으로 얼룩진 아쉬움이 있을 게다. 이 아픔과 회한이 내년(來年)을 보낼 때는 없도록 하자. 고요한 어둠 속에서 스스로 몸을 태워 주위를 밝히는 촛불처럼.
 
전술(前述)한 바는 현명(賢明)한 인간(人間)이 가져야 할 송구(送舊)의 자세이다.


김병연 | 시인/수필가




전국

더보기
보은군, 상인 역량강화 위한 '결초보은상권 상인대학' 개강 보은군은 12월 8일까지 결초보은상권 활성화를 위한 결초보은상권 상인대학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인대학은 보은군이 주관하고 결초보은상권활성화사업추진단 주최로 진행되며 결초보은상권 활성화 구역의 상인 50명을 대상으로 역량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지난 23일 결초보은시장상인회 회의실에서 열린 개강식에는 최재형 보은군수, 최부림 보은군의회의장, 상인 등 60명이 참석한 가운데 결초보은상권 활성화를 위한 마음가짐과 포부를 다지는 시간을 가졌다. 교육은 제이에스서비스 송지환 대표, 미래인재양성연구소 전계화 소장, 쇼호스트 윤지우 등 상권 활성화를 위한 전문 강사를 초빙해 ▲편리한 지불 결제 ▲고객 신뢰 ▲위생 청결 ▲상인조직 역량 강화 등 전통시장 5대 핵심 과제인 결재편리, 고객신뢰, 위생청결, 상인조직강화, 안전관리를 중심으로 12월 8일까지 10회에 걸쳐 교육이 이뤄질 계획이다. 결초보은상권 활성화 구역은 ▲결초보은시장 ▲보은전통시장 ▲터미널 상권 ▲먹자골목 상권 ▲싸전골목 상권 등 총 5개 상권으로 보은읍 상권 대부분을 아우른다. 군은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상권 활성화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30억원, 도비 9억원, 군비 21억원 등 총 6

피플

더보기
‘순국선열의 날’ 양일석·최인규 선생 등 67명 독립유공자 포상 국가보훈부는 제84주년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양일석 선생(애족장), 민병구 선생(건국포장), 최인규 선생(애족장) 등 67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15일 밝혔다. 양일석 선생은 1921년 11월 전남 목포에서 사립 영흥학교 재학 중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군비 축소 관련 ‘워싱턴 회의’가 열리자 한국 독립 문제의 상정을 촉구하기 위해 만세 시위를 벌이다 체포돼 징역 10월을 선고받았다. 법정에서 ‘독립운동은 평소 소신’이라고 당당히 밝혀 한인 청년의 넘치는 기개와 독립운동에 대한 변함없는 확신을 보여줬다. 민병구 선생은 1933년 부산에서 동래공립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조선총독부의 민족 차별적 학교 교육에 반대하는 동맹휴교에 참여하다 무기정학을 받았다. 또 1939년 일본 야마구치 고등학교 재학 중 비밀결사 ‘여우회’ 활동으로 체포되는 등 식민지 하의 억압적 교육 환경 속에서 국내와 일본을 넘나들며 학생 독립운동을 이끌었다. 최인규 선생은 1940년 강원 삼척군에서 천곡교회 권사로 재직 중 조선총독부의 신사참배·동방요배 등 황국신민화 정책에 반대하다 체포돼 징역 2년을 선고받고 옥중 순국했다. 보훈부는 일제 말기 신사참배·동방요배 등 황국신민화 정책에 반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