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6 (목)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문화

K-드라마·예능 중화권 수출 본격 재개…홍콩 ‘필마트’ 참가

13~16일 한국공동관 운영…23개 국내기업 80개 작품 전시·수출 상담

문화체육관광부가 국제방송영상마켓인 홍콩 ‘필마트’에 참가해 K-드라마와 예능의 중화권 수출을 본격적으로 재개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코로나 이후 4년 만에 대면 행사로 여는 홍콩 ‘필마트’에서 13일부터 16일까지 현지 한국 공동관(Korea Pavilion)을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문체부는 ‘K-콘텐츠의 매력을 전 세계로 확산’하기 위해 국내기업이 전 세계 주요 권역의 국제방송영상마켓에 참가할 수 있도록 지원해 드라마 등 K-콘텐츠의 해외 진출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한국 공동관에서는 ▲드라마 ‘모범택시2’의 에스비에스(SBS)콘텐츠허브 ▲예능 ‘보이즈플래닛

’의 씨제이이엔엠(CJ ENM) ▲콘텐츠웨이브(Wavve) ▲케이비에스(KBS)미디어 ▲문화방송(MBC) ▲에스엘엘(SLL)중앙 등 주요 방송·플랫폼사와 ▲최근 폭발적인 인기를 얻은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에이스토리 ▲케이티(KT)스튜디오지니 ▲와이낫 미디어 ▲위매드 ▲영앤콘텐츠 ▲리안콘텐츠 등 방송영상콘텐츠 제작·배급사 23개 기업이 80여 개 작품을 선보이고 상담을 한다.


특히 지난해부터 중국 내에서 K-드라마의 방영이 재개되면서 드라마를 비롯한 방송콘텐츠의 중화권 수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어 중화권 구매자들이 많이 찾는 이번 ‘필마트’에 참가기업들의 관심이 더욱 쏠리고 있다.


문체부는 국내기업들이 중화권을 비롯한 해외 주요 구매자들과 밀도 있는 수출 상담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한국 공동관 참가 지원과 함께 사전 비즈 매칭, 교류 행사 등을 체계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이다.


아울러 문체부는 올해 제작,  방송 예정인 작품을 ‘필마트’ 현장에서 최초로 공개해 유통 전 홍보 및 선판매, 지식재산권(IP) 확장 사업화 등 수출유형 다변화를 모색한다.


이를 위해 오는 15일 행사장 내 대극장(Galaxy Theatre)에서 업계 주요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K-콘텐츠 홍보 쇼케이스를 열어 올해 방송 예정인 스릴러 드라마 ‘룩앳미’를 선보인다.


출연 배우 이민기와 한지현, 제작사 웨스트월드스토리 김나영 대표가 참석해 작품 캐릭터와 관전 포인트, 제작·유통(프로덕션) 계획 등을 발표하고, 현지 구매자, 언론매체와의 교류 행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연간 수출액이 124억 5000만 달러(2021년 기준)에 달하는 K-콘텐츠는 대통령 주재 제4차 수출전략회의에서 수출 전선의 구원투수로 불릴 만큼 국가 경제의 핵심 성장동력이 됐다”며 “문체부는 홍콩을 시작으로 신흥시장 개척을 지원하고 미주·유럽·아시아지역 등 주요 권역에서 K-콘텐츠 홍보시사회, 유통상담회 등 대면 비즈니스와 수출 기회를 최대한 확대, K-콘텐츠의 전 세계적 인기를 지속 견인하겠다”고 강조했다.




전국

더보기
정읍사랑상품권, 1000억 원으로 확대…시민 혜택·지역경제 '두 마리 토끼' 【국제일보】 정읍시가 민생경제에 숨을 불어넣기 위해 정읍사랑상품권 정책을 대대적으로 개편하고 발행액도 역대 최대 규모로 확대한다. 시는 정읍사랑상품권 발행액을 기존 80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확대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결정은 지역 내 소비 촉진과 골목상권 회복, 시민 체감 혜택 확대라는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조치다. 발행액 1000억원은 정읍사랑상품권 제도 도입 이후 최대 규모로, 시는 이를 통해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활력을 불어넣고, 시민에게는 실질적인 할인 혜택을 제공해 지역 내 소비 선순환 구조를 더욱 견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오는 7월부터는 판매 정책도 대폭 개편된다. 1인당 월 구매한도를 기존 50만 원에서 70만원으로 상향하고 기존에 운영되던 연간 구매한도는 폐지된다. 이에 따라 시민들은 필요한 시기에 더 많은 금액을 할인 혜택과 함께 구매할 수 있게 돼, 상품권의 실효성과 활용도가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또한 시는 월별 발행 규모를 기존 6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40억 원 늘려, 자금이 지역 상권으로 보다 빠르게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는 장기화된 경기침체 속에 매출 회복에 어려움을 겪는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