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문화

별감의 업무 일지로 본 조선 왕실…'국역 별감방일기' 발간

1864∼1890년 활동 기록…당대 권력 구조·왕실 문화 연구 자료


(서울=연합뉴스) 국립중앙도서관은 조선 후기 문헌 자료인 '별감방일기'(別監房日記)를 우리말로 번역한 국역본을 펴냈다고 11일 밝혔다. 

별감방일기는 별감 등이 소속된 액정서(掖庭署)의 업무 일지다. 

액정서는 조선시대 임금의 명령을 전달하고 왕이 쓰는 필기구, 대궐 안의 열쇠, 궁궐 설비 등을 맡아보던 조직으로 고종(재위 1863∼1907) 31년인 1894년에 폐지됐다. 

별감의 활동을 정리한 이 자료에는 1864년부터 1890년까지 940건의 기사가 수록돼 있다.

액정서 관리들은 왕과 왕족을 가까운 거리에서 호위하거나 보좌했는데, 이들은 철종(재위 1849∼1863)의 장례, 경복궁 중건, 일본 사신 접견 등 주요 행사에 참여했다고 전한다. 

도서관 관계자는 "행사 후에는 국왕이나 흥선대원군 등 왕실 어른으로부터 하사품을 받았는데 하사품 수여자와 빈도, 물품 종류를 통해 당시 권력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별감방일기는 당대 별감들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력을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액정서 관리들은 경복궁을 중건할 당시 공사에 참여했으며 필요한 경우 원납전(願納錢) 등을 냈다고 알려져 있다. 중인의 신분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경제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도서관 측은 "고종 시대 왕실 행사의 진행 시기와 방식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는 기록"이라며 "국역본 발간이 고문헌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국립중앙도서관은 2005년부터 도서관이 소장한 유일본 가운데 연구 가치가 높은 자료를 찾아 한국고문헌국역총서로 내고 있다. 




전국

더보기
대구시, '2025년 디지털배움터 교육 본격 가동' 【국제일보】 대구광역시는 디지털 소외계층의 정보격차 해소와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5월 12일(월)부터 '2025년 디지털배움터 교육'을 운영한다. 디지털배움터는 상설배움터 2개소를 중심으로 디지털체험존, 수요기관 파견교육, 에듀버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며,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상설배움터와 체험존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제공을 위한 거점 공간으로 평일 상시 운영되며, 방문객에게 디지털 교육과 문제상담 그리고 다양한 디지털 기기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수요기관 파견교육은 경로당, 복지관, 마을회관 등 170여 곳의 주민 생활시설과 연계해 찾아가는 디지털 교육을 실시하고, 디지털 교육용 기자재를 탑재한 이동형 교육차량(에듀버스)을 운행해 도심 외곽 취약지역의 교육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교육 과정은 스마트폰 기초, 키오스크, 온라인 쇼핑, 대중교통 앱 활용 등 기본과정부터 생성형 AI, 금융 보안사고 예방 등 심화 과정까지 일상생활에 필요한 디지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대구시는 이번 교육을 통해 연간 약 16,000여 명의 시민이 디지털 교육 혜택을 받을 것으로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