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0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케이팝 인기에 음반·영상물 수출 역대 최고 기록

올해 1~11월 음반류 수출액 2030억원…전년동기 대비 94.9% 급증

케이팝(K-팝)의 인기에 음반과 영상물 수출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관세청은 올해 1~11월 음반류(음반·영상물) 수출금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4.9% 증가한 1억 7000만 달러(약 2030억원)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케이팝이 해외에서 세계적 팬덤문화를 형성하며 전세계 팬들이 소장을 목적으로 한류스타의 음악이나 뮤직비디오가 담긴 CD, DVD 등을 구입하면서 수출이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관세청은 분석했다.


올해 케이팝 음반과 영상물 수출액은 지난 9월에 이미 전년도 한해 실적을 넘어선 이후 계속해서 최대치를 경신중이다.


음반 수출액은 2017년 4000만 달러에서 2019년 7000만 달러로 증가했고 올해는 지난달까지 전년 동기 대비 78.2% 증가한 1억 2300만 달러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영상물 수출규모 역시 2017년 100만 달러에서 지난해 2000만 달러로 급증하더니 올해 11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157.4% 증가한 4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음반류 수출은 음원 스트리밍과 다운로드 등 온라인 실적은 포함되지 않는다.



케이팝 음반 최대 수출국은 일본으로 2017년부터 꾸준히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올해 수출액은 6000만 달러로 전체 음반 수출액의 48.6%를 차지했다.


미국과 중국으로 각각 1700만달러와 1600만달러가 수출됐다.


미국으로의 음반 수출액은 특히 가파르게 증가해 올해 지난달까지 기준으로 중국 수출액을 추월했다.


케이팝 영상물의 최대 시장은 미국으로 올해 4000만 달러가 수출됐다. 전체 영상물 수출의 83.9%에 해당하는 압도적인 비중이다. 체코, 영국 등 유럽국가도 2018년부터 수출 상위국을 유지하고 있다.


케이팝 음반류 시장은 한국과 아시아를 넘어 이제 전세계로 확장되고 있다. 음반을 찾는 나라도 2017년 78개국에서 올해 114개국으로, 영상물은 2017년 12개국에서 현재 39개국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대륙별 음반 수출비중은 2017년에는 아시아 92.6%, 아시아 이외의 국가가 7.4%로 대부분 아시아 지역이었으나 올해는 아시아가 아닌 지역의 비중이 24.2%로 확대됐다.


영상물 역시 2017년에 아시아 57.1%, 북미가 42.8%를 차지했으나 올해는 북미 84.4%, 유럽 12.8%, 아시아는 1.5%로 아시아와 비아시아 지역 비중이 완전히 역전됐다.


관세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수출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케이팝 인기에 음반류 수출이 역대 최고치로 급증했다”며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브랜드 인기가 올라가는 추세에 있는 만큼 한류 문화콘텐츠 관련 수출도 원활하도록 지원해 수출 증가세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세행정을 적극 펼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전국

더보기
광주시, "신남방 뚫자"…동남아시장개척단 파견 【국제일보】 광주시가 급변하는 세계 통상환경에서 지역 중소기업의 해외 판로 확대를 위해 추진한 동남아 시장 진출이 가시적 성과를 거뒀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최근(10월 19∼25일)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 파견한 '동남아 해외시장개척단'이 수출상담회를 열어 수출상담 119건·1618만달러, 양해각서(MOU) 8건·460만달러, 수출계약 1건·50만달러 등의 성과를 거뒀다고 30일 밝혔다. 동남아시장개척단은 광주시를 비롯해 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본부, 지역 중소기업 10곳이 함께 참여해 신규 거래선 발굴 및 네트워크 구축에 나섰다. 참여기업은 ㈜금명하이텍, ㈜이앤시, 유기농마루, ㈜이터나 보타니카, ㈜원솔루션, ㈜소프트웰스, ㈜라피네제이, 뽀에따, ㈜그린토크, 한국제다 등으로, 화장품·건강기능식품·IT·생활소비재 등 다양한 품목의 제품을 선보였다. 시장개척단은 특히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수출상담회에서 주목할만한 가시적 성과를 냈다. ㈜이앤시는 레독스 리액터(수처리 소재 부품) 제품으로 50만달러의 수출계약을 체결, 의미있는 성과를 냈다. 또 ㈜이터나 보타니카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서 각각 23만달러, 411만달러의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