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기획 · 특집

족보(族譜) 이야기

족보(族譜)의 의의


◆ (휘자(諱字)........돌아가신 어른의 이름을 높여 이른는 뜻)


족보(族譜)는 시조(始祖)부터 역대 조상(祖上)의 얼이 담겨있는 귀중한 보감(寶鑑) 이므로 반드시 가보(家譜)처럼 소중히 간직하여야 하고 이를 대할 때는 상(床) 위에 모셔놓고 정한수를 떠서 절 이배한 연후에 경건한 마음으로 살아 계신 조상을 모시듯 하여야 한다. 우리 조상들께서는 이를 소중히 하기를 보옥(寶玉)처럼 만일에 보관한 곳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아무리 어려워도 족보와 신주를 모셔 나오려다 화염에 싸여 귀중한 목숨을 잃은 일이 왕왕 있었다.


이처럼 소중히 여겨온 족보가 해방후 밀어닥친 양풍(洋風)에 휘말려 왔고 지금은 핵가족 제도가 되면서부터 봉건사상의 유물로만 생각하고 도외시하는 경향이 일고 있다.


조상에 대한 고마움을 망각하고 일가간의 친목은커녕 부모마져 저버리려는 폐습이 있으니 실로 개탄을 금할 길이 없다. 우리 선조께서 지어신 명심보감(明心寶鑑)에 다음과 같은 글월이 생각난다. “자기가 부모에 효도(孝道)하지 아니하고 어떻게 하여 자식에게 효도를 바라겠나” 이 얼마나 깊이 있는 말씀인가 우리 모두가 족보를 자주 살펴 조상들이 목숨을 바쳐가면서 가문(家門)을 빛내고 지켜온 숭조사상(崇祖思想)의 자랑스러운 전통을 이어야 할 것이다.


◆ 족보 보는 법


(1) 족보(族譜)를 보려면 ‘나 자신’이 어느 파에 속해 있는지 알아야 한다.


(2) 파(派)를 알지 못할 경우는 조상(祖上)이 어느 지역에 살았고 어떤 파(派)가 살았던가를 알아야 한다.


(3) 그래도 파(派)를 모를 때는 씨족(氏族) 전체가 수록된 대동보(大同譜)를 뒤찾아 확인하는 외에는 도리가 없다.


(4) 시조(始祖)로 부터 몇 세대(世代)인지를 알아야 한다. 족보는 가로(橫)으로 단을 갈라서 같은 세대(世代)에 속하는 혈손(血孫)을 같은단(段)에 횡(橫)으로 배열하였으므로 자기 세대 (世代)의 단만 보면 된다. 만일 세수(世數)를 모르면 항렬자(行列字)를 헤아려야 한다.


(5) 파(派)의 명칭은 흔히 파조(派祖)의 관작명(官爵明) 시호(諡號)·아호(雅號) 등을 따서 붙인 것 이다.


(6) 파를 찿으려면 족보 계보도(系譜圖) 위에 세계도(世溪圖)를 보아야 한다. 세계에는 대략 분파(分派) 계도를 그려놓고 무슨파는 몇권 몇면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이 표시는 옛날 에는 천자문(千字文)의 글씨로 장(章)을 표시했다. 지금은 대개 숫자순으로 쓰고 있다.


(7) 열(悅)을 기두(起頭)라 한다. 우측에 자진과 소는 열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표시한 것이다. 그 옆에 사첩(四疊)은 횡으로 네 번 바뀌었다는 뜻이 된다.





전국

더보기
대구시, '2025년 디지털배움터 교육 본격 가동' 【국제일보】 대구광역시는 디지털 소외계층의 정보격차 해소와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5월 12일(월)부터 '2025년 디지털배움터 교육'을 운영한다. 디지털배움터는 상설배움터 2개소를 중심으로 디지털체험존, 수요기관 파견교육, 에듀버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며,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상설배움터와 체험존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제공을 위한 거점 공간으로 평일 상시 운영되며, 방문객에게 디지털 교육과 문제상담 그리고 다양한 디지털 기기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수요기관 파견교육은 경로당, 복지관, 마을회관 등 170여 곳의 주민 생활시설과 연계해 찾아가는 디지털 교육을 실시하고, 디지털 교육용 기자재를 탑재한 이동형 교육차량(에듀버스)을 운행해 도심 외곽 취약지역의 교육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교육 과정은 스마트폰 기초, 키오스크, 온라인 쇼핑, 대중교통 앱 활용 등 기본과정부터 생성형 AI, 금융 보안사고 예방 등 심화 과정까지 일상생활에 필요한 디지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대구시는 이번 교육을 통해 연간 약 16,000여 명의 시민이 디지털 교육 혜택을 받을 것으로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