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기고ㆍ투고

[기고] GMO 규제와 미래 이익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농업연구사 이시명




  2010년 7월 31일부터 8월 5일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2010 미국식물생리학회 심포지움이 개최되었다. 이 심포지움에서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성과가 발표되어, 현재까지 이룩한 연구성과를 한눈에 보기에 좋은 학회였다.


  이중 필자의 이목을 끈 것은 비타민 A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벼를 개발하여 유명해진 스위스의 Ingo portrykus(잉고 포트리쿠스) 박사의 강연이었다. 이미 국내에도 여러 번 소개된 바 있는 일명 "Golden Rice"는 식물에서 비타민 A의 전구체인 provitamin A 함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것으로, 비타민 A 부족으로 인해 많은 시력장애 환자를 양산하고 있는 저개발국가에 무상으로 기술이전을 함으로써 공공적인 성격을 가진 연구로서 실용화를 앞두고 있다.


  이 강연에서 포트리쿠스 박사는 GMO에 대한 지나친 규제로 인해, 한해 인도 한 나라에서만 4만명의 생명이 고통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Golden rice의 개발이 1999년에 완료되어 2002년에 보급될 수 있었지만, 세계 각국의 GMO에 대한 과도한 규제가 이 시기를 10년 이상 지연시킴으로 해서 저개발국가의 국민이 지금도 극심한 고통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그가 말하기를 우리가 흔히 접하는 다국적기업의 이윤논리에 의해 만들어지는 GM작물이 아닌, 공익적인 목적으로 개발되는 GMO에 대한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전세계의 영양불균형이 해소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다국적기업 뿐 아니라 국가차원의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GMO를 연구하고 있는 필자의 입장에서, 이 주장에 대해 전적으로 동감한다. 현재의 GMO 규제는 국가주도로 운영되고 있지만, 일부 시민단체의 압력 때문에 강화되어, 잠재적인 이익에 반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발생하는 잠재적인 손실은 결국 전 세계의 미래전망을 어둡게 하고, 더 나은 삶으로의 진보를 더디게하여 많은 이들을 불행하게 만들 수 있다.


  GMO는 1990년대 중반 처음 상업화된 이후로 안전성에 기반한 다양한 검증과 실용화를 통해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상당부분 해소했다. 언제까지 과도한 규제에 매달려 미래에 발생 할 이익을 포기 할 것인지 생각해보자. GMO에 대한 규제를 없애는 것이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겠지만, 이제 발전적인 방향을 생각해 볼 때라고 생각한다.




전국

더보기
인천 동구, 노인 스케일링 본인부담금 지원사업 확대 【국제일보】 인천 동구(구청장 김찬진)는 2023년 10월부터 전국 최초로 시행했던 '노인 스케일링 본인부담금 무료 지원사업'의 대상자와 시술 내용을 확대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 확대는 기존의 소득 기준이 높아지면서 일부 저소득 어르신들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사례가 있었고, 건강보험에서 연 1회 적용되는 스케일링 보다 후속 처치가 포함된 치주 스케일링 시술이 실제로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새롭게 완화된 대상자 기준은 신청일 기준 동구에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기준 중위 소득 130%이하 65세이상 노인이며, 시술 내용은 건강보험 적용 연1회 스케일링 또는 후속 처치가 있는 치주 스케일링 본인부담금 지원이다. 기존에는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 65세이상 노인이 대상자였다. 기존 대상자는 7천902명이었고 새롭게 확대된 기준으로는 1만430명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해당 사업은 지역 내 스케일링 참여 치과 의료기관에서 매년 1회 무료로 시술받을 수 있으며, 신청은 거주지 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보건소 구강보건실에 방문 신청하면 된다. 김찬진 동구청장은 "이번 소득 기준 완화를 통해 더 많은 어르신들이 경제적인 부담 없이 필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