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기고ㆍ투고

[칼럼] 2030년 후를 대비하라

                                         2030년 후를 대비하라

                                                                               김병연
                                                                               시인·수필가


우리나라 인구가 오는 2100년에는 3700만 명 수준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급격한 저출산 때문이다.


우리나라 인구는 현재 약 4800만 명에서 2030년 5000만 명까지 증가한 후 계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세계 총인구는 올해 70억 명에서 2050년 93억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유엔은 우리나라의 고령화 부양비율이 2009년 14.7%이었지만 2050년에는 62.9%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젊은이는 줄어들고 노인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인구감소와 고령화의 진행 속도에 따라 국가의 재정건전성은 그만큼 빠르게 악화될 전망이다. 연금과 의료 등 재정 개혁에 본격 착수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체계적인 장기재정안정체계를 하루빨리 구축해야 함은 물론, 미래의 국부창출산업 육성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위정자와 유권자는 복지 포퓰리즘을 극복하고 2030년 후를 대비해야 한다. 그래야 나라의 주인이다. 우선 먹기는 곶감이 달다고 해서 포퓰리즘의 달콤함에 빠진다면 나라의 미래는 없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2030년 후를 대비해야 한다. 외상이면 소도 잡아먹는다는 말처럼 무상복지 같은 공짜를 싫어할 사람은 없을 게다. 하지만 현재보다 미래가 중요하고, 미래에 대비한 위정자를 후세의 사가들은 높이 평가할 것이다. 유권자도 공짜보다 나라의 장래를 생각하는 지혜가 절실하다.


2030년 후를 대비하는 것은, 우리가 살고 우리의 후손이 사는 길이다.


2030년 후를 대비하라. 국가도 개인도.  




전국

더보기
'제6회 충북 숲해설 경연대회' 개최 【국제일보】 충북도는 산림교육 전문가의 역량 강화를 도모하고, 도민과 숲의 소중한 가치를 함께 나누기 위해 오는 10월 16일 '제6회 충북 숲해설 경연대회'를 충청대학교 캠퍼스 일원에서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충북 숲해설 경연대회'는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등 산림교육 전문가들이 현장에서 쌓아온 전문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경연을 펼치고, 참가자들과 지식과 경험을 교류하는 장으로 마련된다. 이번 숲해설 경연대회는 충북도가 주최하고, 산림교육전문가 양성기관(충청대학교 유아숲지도사교육원, 충북숲해설가협회, 숲환경교육센터)이 공동 주관해 도민들의 참여와 관심을 유도하고자 '숲, 삶을 엮다'라는 주제로 숲과 사람, 지역이 함께 어우러지는 숲 문화 축제로 펼쳐진다. 대회는 ▲경연대회 ▲역량강화 특강 ▲산림교육 체험부스 등 3개 부문으로 진행된다. 경연대회는 서류심사 후 2개 분야(숲해설, 유아숲교육) 총 8팀을 1차 선발했고, 행사 당일 현장시연 및 질의응답을 통한 전문 심사위원의 평가를 통해 각 부문별 최우수상(1팀), 우수상(1팀), 장려상(2팀)을 선발하며 최우수 수상자에게는 충북도지사 상장이 수여된다. 역량 강화 특강은 '숲에서 생명의 삶을 엮다'라는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