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5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고ㆍ투고

[칼럼] 학교보다 학과가 중요하다

                                                            학교보다 학과가 중요하다


                                                                  김병연
                                                                               시인·수필가 


  직업의 선택, 배우자의 선택, 대학의 선택, 대학 학과의 선택은 인간의 삶에 엄청난 영향을 주는 주요한 선택이다. 그 중에서도 고등학생에게는 대학의 선택과 대학 학과의 선택이 우선적이다.


  과거엔 학과보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이른바 명문대학을 선호했다. 하지만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평생직장의 시대가 사라지고 평생직업의 시대가 도래하다보니 의사․변호사․공인회계사․변리사․약사․세무사 등의 전문직과 이른바 철밥통이라고 불리는 교사와 공무원과 경찰 그리고 공기업 사원이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다 보니 명문대학의 웬만한 학과보다 지방대학 일부 학과의 인기가 더 높다.


  대학의 선택보다 대학 학과의 선택이 더욱 중요한 시대가 온 것이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그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무엇보다도 평생직장이 대부분 사라지고 평균수명이 길어진 것이 가장 큰 이유이지만


  첫째, 대학 학과는 전공이라는 이름으로 평생 동안 자신을 따라다닌다.


  둘째, 전문가를 지향하는 요즘은 더욱더 대학 학과가 자신의 직업 진로에 밀착되어 따라다닌다. 과거엔 출신 대학의 위상만 보고 직업 조직이 인재를 채용했다. 그래서 대학졸업 후 비전공분야에서도 각광을 받고 두각을 나타내는 인재들이 많았지만 이제는 전문화 시대의 도래로 소위 명문대학의 간판만으로 비전공분야에서 각광을 받기는 불가능하다.


  셋째, 대학 내에 부전공과 복수 전공이 존재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주(主)전공 학과이다.


  한 번 선택한 대학 학과는 인생을 좌우한다. 그러므로 대학보다 장래를 고려한 학과를 먼저 생각해야 된다.


  IMF 외환위기 때인 1997년까지는 대학의 선택이 학과의 선택보다 중요했지만, IMF 외환위기 후 대학의 선택보다 전공학과의 선택이 훨씬 중요해졌다. 일례로 명문대학의 웬만한 학과보다 지방대학의 약학대학이 인기가 더 높다.


  많은 기업이 정규직보다 계약직을 선호하다보니 장래에 대한 불안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는 사람이 엄청나게 늘어나 과거에는 인기가 없던 정신과전문의의 인기가 하늘을 찌른다.


  학부모와 교사 그리고 고등학생들의 철저한 지도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학교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학과의 선택이 더욱 중요하다는 인식의 확산을 기대해 본다.




전국

더보기
대구교육청, '상반기 민원우수 공무원 및 민원행정 추진 유공 공무원' 교육감 표창 【국제일보】 대구시교육청은 9월 4일 '2025년 상반기 민원 우수 공무원'과 '민원 행정 추진 유공 공무원'을 선정해 교육감 표창을 수여했다. 대구시교육청은 국민신문고 민원 등을 적극 해결하고 이를 통해 민원 서비스 향상과 민원 행정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한 공무원을 격려하기 위해, 매년 민원 우수 공무원은 상ㆍ하반기로 나눠 2명, 민원 행정 추진 유공 공무원은 1명을 선정해 교육감 표창을 수여하고 있다. 올해 '2025년 상반기 민원 우수 공무원'에는 대구동부교육지원청 김현아 장학사가 '민원 행정 추진 유공 공무원'에는 대구시교육청 교육시설과 권영구 주무관이 각각 선정됐다. 먼저, 김현아 장학사는 다수인에 의해 제기된 민원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학교 현장, 시 교육청과 긴밀히 협업하고 민원을 신속·공정하게 처리해 '2025년 상반기 민원다품 직원'으로 선정되는 등 민원 만족도 향상에 기여했다. 권영구 주무관은 반복 민원에도 성실하고 책임감 있는 자세로 응대해 민원인의 고충을 해소했다. 또 철저한 안전 점검 및 전문기술 지원을 통해 교육시설 관련 민원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강은희 교육감은 "교육행정의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