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전국 상수도보급률 99.5%…수돗물 평균요금은 1ℓ당 0.796원

2023년 상수도 통계 공표…수돗물 사용량 전년보다 소폭 줄어


(서울=연합뉴스) 우리나라 상수도 보급률이 99.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하루 수돗물 사용량은 약 0.6% 감소했고, 수돗물 평균 요금은 소폭 증가한 1ℓ당 0.796원이었다.

환경부는 이런 내용의 '2023년 상수도 통계'를 27일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waternow.go.kr)에 공개한다고 25일 밝혔다.

상수도 통계는 그해 1년 동안 지자체별 상수도 보급현황, 시설현황, 1인당 물 사용량, 수돗물 생산원가 및 요금 등 수도시설과 운영관리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023년 상수도 통계 조사 결과 급수인구는 5천238만5천여명이며, 전국과 농어촌지역 상수도보급률은 각각 99.5%, 96.4%로 조사됐다.

전국과 농어촌지역 상수도 보급률은 10년 전인 2014년 각각 98.6%, 91.5%였는데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전국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총량은 67억9천500만㎥이다. 

이 중 수도 요금으로 징수하는 물의 총량을 뜻하는 '유수 수량'은 약 58억6천200만㎥로, 유수율은 86.3%, 누수율은 9.9%다.

누수율은 노후 상수도 정비사업의 효과로 최근 5년간 감소하는 추세다.

특히 노후 상수관로 정비사업이 준공된 16개 지자체의 2023년 평균 누수율은 2016년도와 비교해 10.8% 감소했다. 

누수율 개선으로 연간 약 2천900만㎥의 수돗물 누수가 줄었다.

이는 연간 654억원을 절약(총괄 원가 기준)하고, 연간 7천150톤(t)의 온실가스를 저감하는 효과와 맞먹는다.

국민 1인당 하루 수돗물 사용량은 303.9ℓ로, 전년(305.6ℓ) 대비 0.6% 감소했다.

전국 수돗물 평균 요금은 1ℓ당 0.796원으로 전년 대비 0.048원 증가했다.

특·광역시 평균 요금은 1ℓ당 0.745원으로 대체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으나, 도(道)의 평균 요금은 1ℓ당 0.833원으로 높은 편이었다.

이승환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상수도 통계는 상수도 정책의 기초가 되는 자료"라며 "앞으로 신뢰도 높은 상수도 통계를 바탕으로 국민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국

더보기
광주 서구청장 집무실에 '골목경제119 상황판' 구축 【국제일보】 광주광역시 서구(구청장 김이강)는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서구 전체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완료한 가운데, 서구청장 집무실에 '골목경제119 상황판'을 설치하고 상시 관리체계에 돌입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상황판은 18개 동 119개 골목형상점가의 위치, 업종 분포, 상인회 현황, 특화사업 진행 현황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제작됐으며 김이강 서구청장은 상상황판을 통해 골목경제의 변화와 주민 체감도를 직접 점검하고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이번 상황판 설치는 서구가 그동안 강조해 온 '동 중심의 생활정부' 모델과 주민 중심의 소통행정 철학을 녹여낸 상징적 조치로 평가된다. 김이강 서구청장은 "골목형상점가는 단순한 상권 지정이 아니라 지역경제의 살아 있는 현장"이라며 "청장 집무실에서 직접 현황을 상시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골목경제119 프로젝트의 실행력을 높이고 민생 회복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서구는 지난 6월 구 전체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완료하고 '대한민국 골목경제 1번지'를 선포했으며 향후 ▲골목현장 집무실 운영 ▲온누리상품권 가맹·이용캠페인 ▲AI 상권 분석 기반의 맞춤형 지원 등 실질적 골목경제 활성화를 위한 후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