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국제

트럼프와 파국에 사과 거부한 젤렌스키…美국무 "사과하라" 압박(종합2보)

젤렌스키 "트럼프·미국민 존경…관계 회복할 수 있어" 진화


(서울=연합뉴스)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정상회담이 28일(현지시간) 고성 끝에 파국으로 끝난 가운데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민을 존경한다"며 사태 진화에 나섰다. 

로이터, AFP 등 외신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회담 이후 폭스뉴스 앵커 브렛 베이어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가 미국의 지원 없이는 러시아를 막기 어려울 것"이라며 "그것이 이곳에 온 이유이자 미래의 협상에 관해 이야기하는 이유"라고 했다. 

이어 "이런 상황은 양측 모두에게 좋지 않다"며 "미국 파트너를 잃고 싶지 않다"고 손을 내밀었다. 
다만 그는 충돌에 대한 사과는 거부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사과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매우 정직해야 한다. 우리가 나쁜 짓을 했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관계 회복에 대한 끈을 놓지 않았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시 동맹의 관계는 "당연히" 회복될 수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정말 우리 편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러시아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 대한 태도는 한치도 바꿀 수 없다"며 안전보장이 있기 전에는 평화 회담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이런 반응에 대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사과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루비오 장관은 CNN과 인터뷰에서 "일이 이렇게 실패로 돌아가도록 한 것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며 "그가 거기서 적대적인 반응을 보일 필요가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트럼프)대통령은 '딜메이커'이며 평생 거래를 성사시켜온 인물"이라며 "공격적으로 이야기하기 시작하면 사람들을 협상테이블로 끌어내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슬슬 젤렌스키가 평화협정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한다"며 "그는 원한다고 하지만 아마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도 했다. 

루비오 장관은 회담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이 밴스 부통령에게 보인 태도도 문제 삼았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평화를 위해 러시아와 외교를 하는 것이라는 밴스 부통령의 발언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이 "J.D. 무슨 외교를 말하는 것이냐"고 걸고넘어진 것을 지적하며, 그 이후로 대화가 궤도를 벗어났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오늘 밤에도 우크라이나에서는 사람들이 죽을 것"이라며 "우리는 이 갈등을 끝내려고 하고 있고, 지금 전 세계에서 이 전쟁을 끝낼 수 있는 기회라도 있는 유일한 지도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며 우리는 그에게 그렇게 할 기회를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났지만, 카메라 앞에서 얼굴을 붉히며 거친 말들을 주고받은 끝에 빈손으로 회담장을 떠나야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종전구상을 받아들이지 않는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거칠게 면박을 줬고, 젤렌스키 대통령도 굴하지 않고 안전보장을 요구하면서 회담은 결국 '노딜'로 끝났다.




전국

더보기
대구시, '2025년 디지털배움터 교육 본격 가동' 【국제일보】 대구광역시는 디지털 소외계층의 정보격차 해소와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오는 5월 12일(월)부터 '2025년 디지털배움터 교육'을 운영한다. 디지털배움터는 상설배움터 2개소를 중심으로 디지털체험존, 수요기관 파견교육, 에듀버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며, 시민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상설배움터와 체험존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제공을 위한 거점 공간으로 평일 상시 운영되며, 방문객에게 디지털 교육과 문제상담 그리고 다양한 디지털 기기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수요기관 파견교육은 경로당, 복지관, 마을회관 등 170여 곳의 주민 생활시설과 연계해 찾아가는 디지털 교육을 실시하고, 디지털 교육용 기자재를 탑재한 이동형 교육차량(에듀버스)을 운행해 도심 외곽 취약지역의 교육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교육 과정은 스마트폰 기초, 키오스크, 온라인 쇼핑, 대중교통 앱 활용 등 기본과정부터 생성형 AI, 금융 보안사고 예방 등 심화 과정까지 일상생활에 필요한 디지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대구시는 이번 교육을 통해 연간 약 16,000여 명의 시민이 디지털 교육 혜택을 받을 것으로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