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제

건설업 불황에…동국제강 인천공장 한달여간 생산 중단(종합)

공급과잉·수요침체·전기요금 등 원가부담 '삼중고' 대응



(서울=연합뉴스)  동국제강이 건설업 불황에 따른 수요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한 달여간 인천공장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다.

동국제강은 26일 공시를 통해 인천공장 압연공장 및 제강공장의 생산을 7월 22일부터 중단한다고 밝혔다. 생산 재개 예정일은 8월 15일로, 약 한 달간 공장 가동을 멈춘다.

동국제강 인천공장은 전기로 2기와 압연라인 2기를 갖추고 있으며 회사 전체 매출의 40%를 담당하는 핵심 거점이다.

인천공장은 단일 공장 기준으로 국내 철강 공장 가운데 가장 많은 철근을 생산하고 있다. 연간 국내 철근 생산량 약 1천300만t 가운데 약 220만t을 담당한다.

동국제강은 이번 생산 중단 사유를 '공급과잉 해소'로 적시했다.

국내 철강 업계는 만성적인 철근 공급 과잉 상황을 겪고 있다. 건설 경기 악화로 인한 수요 침체가 2년 이상 장기화하면서 어려움에 빠져 있다.

여기에 하절기 산업용 전기료 할증과 원료 가격 상승 등 원가 부담까지 더해지면서 철강사들은 감산 등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전력은 작년 10월 주택용과 일반용 등 용도의 전기요금은 동결하고 산업용 전기만 평균 9.7% 인상한 바 있다.

이에 전기로 등을 운용하며 전기를 대량으로 소비하는 철강사를 비롯한 에너지 다소비 업종은 원가 인상 부담을 안고 있다.

업계에서는 동국제강이 전력 소비가 많은 7∼8월 수요 정점기에 전기요금이 비싸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 시기 감산을 추진한 것으로 보고 있다.

동국제강 관계자는 "건설업 불황으로 인한 전방산업 수요 감소로 작년 공장 가동률을 60%로 낮춘 데 이어 올해 초 50%로 낮췄다"며 "이후에도 시장 상황이 나아지지 않아 한 달여간 가동률을 0%로 만들기로 했다"고 말했다.

동국제강은 생산 중단 기간 약 20만t의 공급 감소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공급망 안정 및 전방 산업 상생을 위해 사전 계약 물량은 보유 재고를 활용해 차질 없이 공급할 계획이라고 했다.

동국제강 관계자는 "8월 시장 상황 변화를 지켜보고 만약 공급 과잉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중단 기간 연장을 검토해야 할 상황"이라며 "과잉재고 및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해 더는 결정을 미룰 수 없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전국

더보기
울산시, 안전하고 활력있는 도시환경 조성한다 【국제일보】 울산시는 안전하고 활력있는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빈집정비를 통한 도시활력 제고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현재 울산시에는 주택빈집 1,855호, 미분양 오피스텔 582호, 미분양 공동주택 1,013호가 있다. 한국부동산원 상가 공실률 표본조사 결과 오피스텔 15%, 중대형상가 17%, 소규모상가 6%, 집합상가 20%가 공실로 남아 있어 전국 평균대비 공실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빈집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는 인구 고령화·저출산, 수도권 인구 유출 등으로 인한 지역 내 인구 감소와 주택수요 공급의 불균형 등을 꼽을 수 있다. 경기침체에 따른 상권 쇠퇴로 상가 공실률 증가, 각종 사업승인 미착공 및 미개발 사업장 등도 증가하고 있다. 이밖에 지속적으로 어린이집이 폐업하고 있으며 미착공 공공주택 사업장과 도시개발 사업장도 증가해 안전사고, 범죄발생, 주거환경을 해치는 등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울산시는 '빈집정비를 통한 도시활력 제고방안'을 수립하고 추진에 나선다. 제고방안은 빈집을 활용한 시설을 조성해 시민 편의제공 및 지역경제 활성화, 적극적인 제도개선으로 빈집 정비 시민참여 확산, 정부 공모사업과 연계한 국비 확보로 정비예산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