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

'지역뿌리'도 흔들…농어촌 숙련인력 9년 8개월만에 최대폭 감소

정부 "농가 소득 제고 노력"



(세종=연합뉴스)  지난달 농어촌의 숙련 인력이 약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면서 지역경제의 기반마저 흔들린다는 우려가 나온다.

제조업과 건설업 등 지역 산업 전반에 이상 신호가 켜진 가운데 농어촌을 지탱해온 일손들마저 빠르게 줄었다.

1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7월 농림어업 숙련종사자는 전년 동월 대비 13만명 줄었다. 이는 2015년 11월(-17만 명) 이후 9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는 농업·임업·어업 분야에서 숙련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생산 활동을 이어가는 직업군이다. 단순 일용직이 아니라 오랜 기간 농어업에 종사해 생계를 이어가는 인력이다.

숙련 종사자들은 2023년 12월과 지난해 1월 각각 9천명 줄었고, 같은 해 2월부터 11월까지는 매달 '1만5천∼7만명' 사이에서 감소 폭을 기록했다.

이들은 작년 12월(2만2천명)과 올해 1월(1만6천명) 두 달간 잠시 늘어났다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특히 4월(-10만5천명), 5월(-11만1천명), 6월(-12만4천명), 7월(-13만명)까지 넉 달 연속 10만명대 감소 폭을 보였다.

숙련 인력 감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농어촌 고령화가 꼽힌다. 

통계청 '2024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은 농가 55.8%, 어가 50.9%, 임가 56.4%로 모두 절반을 넘겼다.

여기에 올봄 이상 한파, 여름 폭염과 집중호우 등 기후 악재가 겹치면서 생산활동 자체가 어려워진 것이 숙련 인력 감소 폭을 키운 것으로 분석된다.

농림어업은 비수도권 지역경제와 관계가 깊다.  통계청의 '2023년 지역소득' 자료에 따르면 전국 산업에서 농림어업이 차지하는 비중(총부가가치 기준)은 1.6%에 불과했지만, 제주(10.2%), 전남(6.1%), 전북(5.8%), 경북(5.0%) 등에선 전국 평균을 훨씬 웃돌았다.

정부는 농림어업 일자리 감소에 주목하고 있다. 다만, 농어촌 인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외국인 노동자 일부가 통계에 반영되지 않는 한계도 있어 추세 해석에는 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단순히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수를 늘리는 것보다는 전반적인 농가 소득을 높이고, 농림어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

더보기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