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농업의 미래, 한 알의 씨앗에서 시작된다

- 제3세대형 유전자원 활용으로 세계종자강국 도약 -

세계는 지금 약 35조원 규모의 종자시장을 놓고 그야말로 총성 없는 국제 종자 전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청장 김재수)은 우수 자원의 종자 공급을 현재보다 5배 이상 대폭 늘리고 제 3세대형 유전자원 활용으로 2017년 한국을 세계 종자강국으로 도약시킬 중추적인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 10대 기업이 종자시장의 57%를 차지하고 있으며, 종자는 인류 삶의 원천이자 다양한 의약품, 신기능성, 에너지 등과 같은 미래 국부 창출의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농촌진흥청은 현재 세계 6위의 농업유전자원을 확보(26만8천점)하고 있으며, 유전자원 100만점을 100년 이상 보존하는 최첨단 안전 저장시설과 유전자원 전문가 등 선진화된 첨단 인프라를 구축해왔다. 또한 농촌진흥청은 우수한 유전자원을 이용해 지난 1970년대 ‘녹색혁명’의 주역 ‘통일벼’를 비롯해 2007년까지 약 2,477개의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여 보급해 왔다.

그동안 농촌진흥청의 최첨단 유전자원 시설과 운영능력에 대한 세계적 인정과 자원외교 노력은 우수한 유전자원의 확보는 물론 국가브랜드 향상에도 크게 기여해왔다.

지난 2008년에는 FAO로부터 국가기관 최초로 『세계 종자 안전중복보존소』로 인증 받아 세계체소연구센터, 미얀마 등으로부터 6,037점의 자원을 수탁 보존하고 있다. 또한 자원외교를 통해 한반도 원산 자원 4,422점을 미국, 일본, 러시아, 독일 등으로부터 들여옴으로써 귀중한 토종자원을 되찾아 이용하게 되었다.

2009년 9월에는 FAO가 지정하는 “국제유전자원협력 훈련센터”를 농촌진흥청에 설치하고 동남아 12개국 16명이 참가하는 제 1차 국제 유전자원 전문가 훈련과정을 통해 기술전수 및 자원협력을 강화함으로써 동북아 종자허브 구축기반을 마련하였다.

농촌진흥청은 이와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를 2017년까지 한국을 세계 종자강국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앞으로 3년간 한국 농업과 녹색성장을 선도할 제 3세대형 기능성 유전자원 활용에 인적, 물적 자원을 포함한 최대한의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첫째, 2020년 약 1,650억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기능성 유전자원 활용 산업시장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유전자원의 활용형태를 기존의 작물재배, 오일, 사료, 약품, 향장품 등 제 1, 2세대 형태에서 질병예방, 생체조절물질, 생물에너지, 산업효소, 생물 촉매제 등 새로운 형태인 제 3세대형 산업적 활용형태로 진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둘째, 이와 같은 새로운 산업적 기능성 유전자원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국내외 우수 유전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토종자원의 탐색·수집과 자원외교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바이오 에너지, 신기능성 물질 등과 같은 전략적 자원도입을 더욱 강화해 2017년까지 세계 5위 수준, 35만점 규모의 유전자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셋째, 우수한 기능성 유전자원의 산업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현재 보유자원의 약 43%(114천점)에 대한 다양한 우수 기능성과 형질 평가 및 충분한 종자량 확보를 2012년까지 조기에 완료 할 계획이다.

넷째, 국가유전자원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모든 유전자원에 대한 우수 특성 및 기능성 신물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2015년에는 연간 현재 수준의 5배인 25,000점 이상의 우수자원을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앞으로 농촌진흥청은 제 3세대 유전자원을 수집·보존하고 산업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 반드시 세계 종자강국을 실현함과 동시에 미래 한국 농업과 산업계에 희망을 안겨주길 기대한다.



전국

더보기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