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고ㆍ투고

[칼럼] 체통을 지킬 줄 알아야

                                         체통을 지킬 줄 알아야
 
                                                                                김병연
                                                                                시인·수필가



나의 어린 시절엔 마을 주변의 산에서 시사(時祀)를 지내면 동네 아이들이 시사 지내는 옆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시사가 끝나면 시사 지낸 음식을 한 목기(木器)씩 받아와 맛있게 먹었는데 어린 동생이 있는 아이들은 동생을 업고 가서 동생의 몫으로 한 목기 더 받아와 먹었다. 그런데 어른들이 집에 계실 때 시사를 지내면 나는 시사 음식을 받으러 갈 수가 없었다. 그런 음식을 받아다 먹었다가는 거지처럼 그런 걸 왜 받아오느냐고 혼쭐이 나기 때문이다. 그것은 양반은 얼어 죽어도 겻불은 안 쬔다는 우리 속담처럼 사람이 체면을 깎는 일을 해선 안 된다는 교육이었다. 그래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봉명동에 단독주택을 구입하면서 채무가 800만원 있었다. 월급쟁이로써 수입을 늘릴 수는 없고 지출을 줄일 수밖에 없었던 나는 그 당시 구내식당에서 1200원이면 먹을 수 있는 점심을 굶었고 동료들이 점심을 거르는 것을 알고 점심을 사주려고 했지만 따라가지 않았다.


한 때는 돈이 없어 6개월 정도 하루 90원짜리 빵 한두 개로 식사를 해결했다. 하지만 배가 고파도 배고픈 내색을 일체 하지 않았다. 체통을 지키기 위해서였다.


잔칫집에 3만원 부조하면서 자식을 둘씩이나 데리고 가 식사를 하는 사람을 볼 때면, 체통을 지킬 줄 모르는 불쌍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일도 안하면서 초과근무수당만 타간다고 언론에서 시끄러웠던 적이 있다. 하위직이야 먹고살기 어려우니 그런다고 하지만, 관리자도 그런다는 보도를 읽었을 땐 체통을 지킬 줄 모르는 불쌍한 관리자라는 생각이 들었었다.


뭐니 뭐니 해도 사람은 체통을 지킬 줄 알아야 하지 않을까.




전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