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기고ㆍ투고

[칼럼] 교수, 마지막 양심으로 남기를 / 김병연

서울대 인권센터가 교수와 대학원생 사이에 관행적으로 이뤄지는 폐해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조사 대상은 대학원생 1380여 명으로, 이 중 30여 명에게는 개별 심층면담이 이뤄졌다.


 


대학원생 41.6%는 교수들의 준비 안 된 수업으로 학습․연구 권리를 침해받았다고 대답했다. 교수들은 개인 사정을 이유로 수업 시간을 변경했으며(26.8%), 업무를 핑계로 대학원생들을 수업에 불참시키기도 했다(18.4%). 교수가 특정 수업의 수강을 강요하거나 듣지 못하게 하는 경우까지 있었다(17.1%).




한 대학원생은 지도교수가 자기가 싫어하는 다른 교수의 수업을 못 듣게 한다. 뉴라이트 계열 교수의 수업을 들으면 찍힌다고 했다.




교수나 선배의 논문을 대필했다는 대답도 16%였다. 중요 학회지 제출 논문만 본인이 집필하고 연구 실적을 채울 때는 조교들에게 시킨다는 것이다. 학생의 논문에 공동 연구자로 이름을 올린 교수도 있었다. 인권센터 관계자는 박사가 석사에게 대필을 시키는 사례도 많았다고 했다.




대학원생에게 선물 제공을 강요하는 교수도 8.9%였다. 한 대학원생은 감사비 명목인데, 지도교수에게 수백만 원을 현금으로, 다른 심사위원들에게 수십만 원씩 상품권으로 지급한다고 말했다.




교수들의 연구비 유용 문제도 지적됐다. 대학원생 중 10.5%가 교수로부터 연구비 유용 지시를 받았다고 했는데, 공과대의 연구비 유용 지시가 40건으로 가장 많았다.




한 대학원생은 프로젝트나 BK 21 사업 등에서 학생들 명의로 나오는 인건비가 1000만 원 이상 되는데, 이 중 일부만이 지급된다고 말했다.




교수가 대학원생에게 부적절한 개인 업무를 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한 대학원생은 해외 출장을 간 교수의 빈집에 가서 개밥을 줬다고 했고, 교수 아들 생일파티에서 풍선을 불고 교수 아내 비행기표 예매도 했다고 말한 학생도 있었다.




대학원생들은 강제 집합 행사에 동원되거나(28.1%), 교수로부터 폭언․욕설을 당한 경우(18.9%)도 많았다. 한 대학원생은 선생님들이 박사들만 따로 불러서 술을 마시는데, 그들을 무릎 꿇게 해서 때렸다. 주로 때리는 대상은 박사 논문 통과를 앞둔 사람처럼 교수에게 취약한 사람이었다고 했다.




교수로부터 성 비하 발언을 당했다는 대학원생도 19.8%였다. 한 대학원생은 여자는 머리가 안 좋아서 공부 많이 해도 훌륭한 사람이 못 된다는 말을 들었다. 술자리에서 윗사람이 여자 대학원생을 끌어안으며 가슴을 만지는 일도 있었다고 말했다.




정진성 인권센터장은 대학원생은 지도교수와 틀어지면 일생을 반납하는 셈인데, 지도교수에게 쫓겨나면 아무 데서도 안 받아주는 등 불합리한 점이 많다면서 현재 개별 단과대학이나 학과와의 협의를 통해 학칙 개정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문제가 없어도 교수가 학생을 싫어하면 졸업이 안 되는 것은 무슨 일이 있어도 개선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


소위 명문대라는 서울대가 이 정도라면 다른 대학들도 별로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여 진다.




우리는 대학 선생을 특별히 교수라고 부른다. 그 이름이 부끄럽지도 않은가. 교수는 우리 사회 최고의 선생님답게 행동해야 한다.




교수와 대학원생의 관계는 강자와 약자와의 관계다. 강자의 횡포는 지탄받아 마땅하다. 그렇지 않아도 강자는 살기 좋고 약자는 자살로 내몰리는 현실에서 모범을 보여야 할 교수가 횡포로 사회적 지탄을 받는다면, 과연 대한민국의 미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는가. 학자적 양심은 팔아먹었는가.




교수는 우리 사회의 마지막 양심으로 남기를 간곡히 당부한다.




시인/수필가




전국

더보기
대구시교육청, 학교폭력의 교육적 해결 위한 학생 주도 워크북 '성찰 발자국' 발간 【국제일보】 대구시교육청(강은희 교육감)은 학교폭력 등 학생 간 갈등 사안을 교육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워크북 '성찰 발자국'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대구시교육청은 사법적 해결이 늘어가고 있는 학교폭력 사안을 교육적으로 풀어내기 위해 올해부터 '갈등조정지원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상반기 동안 42건의 사안을 자체 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 워크북은 '갈등조정지원단' 피해회복 프로그램의 하나로 학교폭력 관련 학생의 변화를 돕고, 교사와 학생이 함께 반성과 회복을 동행할 수 있는 학생 주도 실습형 교육자료로서 개발됐다. 자기성찰, 준법, 책임 반성, 성장 변화 등 4가지 영역의 흐름으로 구성돼,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되돌아보고 직접 제시한 과제를 수행하며 자신의 행동에 대한 반성과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특히, 워크북의 세부 제목은 학생 개별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해 과제 수행의 책임감을 부여하고 과제 노출을 최소화했다. 이 워크북은 갈등조정지원단 운영 시 관련 학생에게 제공해 조정 과정에 활용되고, 각 학교에서 학교폭력 예방 및 사안처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교육청 누리집(https://www.dge.go.kr)을 통해 전자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