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고ㆍ투고

[기고] 올해는 多難興邦 (다난흥방)의 자세로

                          올해는 多難興邦 (다난흥방)의 자세로

                                                                
김천소방서 황길석






중국인이 잘 쓰는 말 중에 '구동존이(求同存異)'가 있다. 이해가 맞는 일부터 우선 함께 하고, 이견(異見)이 있는 사항에 대해선 제쳐 두었다가 나중에 하자는 이야기다.


시험 볼 때 쉬운 문제부터 먼저 풀고, 어려운 것은 나중에 처리하라는 말과 같다.


지난해 북한의 도발이 이어졌고 연말엔 구제역(口蹄疫)까지 발생해 전국이 비상이다.


이런 난국 극복을 위해서는 다난흥방(多難興邦)'자세가 필요하다


다난흥방의 유래는 중국 진(晋)나라 때 '팔왕(八王)의 난(亂)'이 일어나 나라가 혼란에 빠졌다.


북방 민족들은 독립해 나라를 세우고 황제는 잇따라 피살됐다.


그러나 당시 좌승상이던 사마예(司馬睿)는 건강(建康·지금의 南京)을 지키며 꿈쩍도 하지 않았다.


이에 조적(祖逖)과 유곤(劉琨) 등의 장수들이 사마예에게 제위에 오르기를 권하면서 "많은 재난이나 어려움은 우리에게 나라를 부흥시키고 공고히 하도록 격려해 주며(或多難以固邦國), 깊은 근심은 황제로 하여금 정세를 정확하게 보고 새로운 결심을 하게 한다(或殷憂以啓聖明)"고 했다.


여기에서 다난흥방이 나왔다.


중국인은 국난(國難)을 맞으면 곧잘 이 말을 쓴다. 2008년 쓰촨(四川) 대지진 현장을 방문한 원자바오(溫家寶·온가보) 총리는 한 중학교를 찾아 칠판에 '다난흥방' 넉 자를 쓰며 학생들을 격려했다.


어려운 일을 많이 겪고 나서야 나라를 부흥하게 할 수 있다는 뜻으로 난국 극복을 위해 노력하자는 취지에서다.


우리의 구제역 폐해도 포항인덕원 화재사고도 다난흥방의 각오를 새로이 다질 때다.




전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