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3 (일)

  • 흐림동두천 13.0℃
  • 구름많음강릉 9.9℃
  • 흐림서울 15.1℃
  • 구름많음대전 15.7℃
  • 구름많음대구 14.9℃
  • 구름많음울산 12.2℃
  • 흐림광주 16.7℃
  • 구름많음부산 12.9℃
  • 흐림고창 14.2℃
  • 흐림제주 15.9℃
  • 흐림강화 9.1℃
  • 구름많음보은 11.9℃
  • 구름많음금산 15.2℃
  • 흐림강진군 13.0℃
  • 구름많음경주시 10.3℃
  • 구름많음거제 15.6℃
기상청 제공

경제

코로나19 장기화로 공항사용료 감면 내년 6월까지 연장

457억 원 추가감면 효과 기댜…화물 및 여객수요 회복 위한 인센티브도 시행

정부가 코로나19 피해가 장기화됨에 따라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항공사 및 지상조업사 지원을 위해 공항시설사용료 감면을 내년 6월까지 연장한다.


국토교통부,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항공사 매출의 약 62.4%를 차지하는 국제선 여객이 사실상 운항중단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공항시설사용료 감면을 연장한다고 30일 밝혔다.


그간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항공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올해 연말까지 공항시설사용료를 감면·유예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방안을 기반으로 항공업계는 근로자의 고용을 최대한 유지하는 한편 국내선 확대 및 화물중심으로 수익구조를 개선하는 등 적자규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구적 노력도 시행해 왔다.


정부와 인천·한국공항공사는 코로나19의 회복전망이 불투명한 상황과 항공업계의 어려운 경영여건 등을 고려, 추가 지원대책을 마련·시행하게 됐다.


먼저 지난 8월 27일 ‘고용·경영 안정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항공산업 지원방안’에서 발표했던 항공업계 대상 공항시설사용료 감면(3~12월)을 내년 상반기까지 연장한다.


이에 따라 내년 1월부터 6월까지(6개월) 착륙료(10~20%)·정류료·계류장사용료(100%) 감면을 통해 약 457억 원의 추가감면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의 지원금액까지 포함하면 총 1210억 원의 공항시설사용료 감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항시설사용료 감면기간 연장과는 별도로 화물 및 여객수요 회복을 위한 인센티브도 시행한다.


인천공항공사는 화물수요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화물기의 수혜비율이 높은 조명료를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100% 감면할 예정이다.


한국공항공사는 지방공항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국내·국제선 신규취항 및 증편 등에 대해 착륙료·정류료·조명료를 3년간 최대 100%까지 감면할 예정이다.


김상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정부, 공항공사 및 항공업계가 합심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방안을 찾아나가고 있다”면서 “공항시설사용료 감면 등 직접적인 지원과 함께, 국제 관광비행·트레블 버블 등 코로나 상황에서 가능한 대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전국

더보기

피플

더보기
외교부, 흑백요리사 셰프·박세리 등 문화외교자문위원 위촉 (서울=연합뉴스) 외교부는 17일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에 출연해 더 유명해진 조셉 리저우드 셰프와 '골프 전설' 박세리 등을 제7기 외교부 문화외교 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고 밝혔다. 이날 위촉된 7기 자문위원으로는 조셉 리저우드 레스토랑 '에빗' 오너셰프와 박세리 바즈인터내셔널 대표, 금융인이자 방송인으로 한옥 등 한국 문화를 알려온 마크 테토 TCK인베스트먼트 공동 대표이사 등이 포함됐다. 또 뉴욕 타임스스퀘어에서 폭포를 디지털로 구현해 화제가 된 디지털 디자인 업체 '디스트릭트'의 이성호 대표, 음악을 통한 재능 기부 활동을 해온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한수진이 자문위원으로 위촉됐다.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장, 김장언 서울시미술관협의회 이사, 신춘수 오디컴퍼니대표, 안미희 전 경기미술관장, 양정웅 극단 여행자 대표, 인재진 자라섬청소년재즈센터 이사장, 최영인 SBS 스튜디오 프리즘 예능부문대표 등도 자문위원이 됐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위촉식에서 한국의 국격을 높이고 긍정적인 국가 브랜드를 확산하기 위해 공공문화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외교부의 다양한 문화외교 활동에 있어 자문위원들의 전문적인 조언과 기여에 기대를 표명했다. 외교부는 창의적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