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기고ㆍ투고

【기고】 무제(無題) / 김병연


자연(自然)은 평화롭기만 하다. 때가 되면 어김없이 꽃이 피고 꽃이 지고 열매를 맺는다. 꽃을 밟고 올라오는 나무도 없고, 잔 나뭇가지를 부러뜨리지 않는 큰 나무는 홀로 푸르지 않다.


끝없이 늘어선 가로수나 호수 주변의 벚꽃도 아름답지만, 가로등이 켜진 뒤 만개한 벚나무 아래서 고개를 젖혀 올려다보면 하늘 가득 꽃 잔치가 펼쳐진다. 가지와 가지 사이에 달이라도 들어오면 달을 품은 벚꽃이 연출된다. 나무 아래에서 올려다보고 한 걸음씩 움직여 보면 다른 가지 사이로 따라와 벚꽃에 안기는 달을 보게 된다.


여러 종류의 꽃 중에 벚꽃만큼 화사한 꽃이 또 있을까. 벚꽃이 만드는 따뜻하고 화사한 그늘, 작은 벚꽃이 모여 만드는 꽃그늘 아래에서는 모두가 아름답고 환하고 마음이 설렌다.


장미는 붉고 희고 화려하고 아름답지만, 그늘을 만들지는 못한다. 벚꽃은 아주 조그만 꽃들이 알알이 뭉쳐져 커다란 하나의 꽃이 될 때 아름다움은 배가 된다. 벚꽃이 아름다운 이유는 여기에 있다. 벚꽃이 만드는 그늘, 그 그늘은 느리고 화사하다. 그 느린 그늘이 우리를 감쌀 때 우리는 세상 속에서 인생의 달리기를 멈추고 잠시 쉴 수 있다.


우리는 늘 달리고 있다. 마치 멈추면 쓰러지는 팽이처럼 스스로를 채찍질하며 돌리고 괴롭히며 오늘을 살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주위를 둘러볼 여유도 없이, 남과 같이 살아야지 하면서도 실상은 주위 사람보다 내가 더 우월해야 스스로 만족한다.


나무와 꽃이 자라고 피고 새가 울고 다람쥐가 노니는 산은 생명체의 시네마스코프다. 산은 철 따라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며 아낌없이 버리는 철학의 산실이고 침묵을 통한 무언의 웅변을 하고 어머니의 가슴 같고 만년을 믿어도 좋은 친구 같으며 청순한 처녀 같은 영원한 연인의 모습이다.


산(山)은 인간에게 무한한 깨우침을 주는 진리의 보고(寶庫)이며 찬란한 시(詩)이고 아름다운 예술이다. 인간의 정신적 고향이고 육체의 귀의처이다. 정직과 순리와 진리의 화원이다. 광의로는 인간도 자연에 속하지만, 인간은 사고력을 갖고 말을 하며 문자를 사용하는 존재라는 점과 모든 생명체가 인간에 의해 가치와 의미가 정립된다는 점에서 다른 생명체와는 분명히 구별되고 있다.
 
인간은 자연을 가까이하는 삶을 영위해야 한다. 봄의 화초처럼 생명의 가치를 드러낼 수 있고, 여름의 녹음처럼 우거질 수 있으며, 가을의 산처럼 열매를 생산할 수 있고, 겨울의 지구처럼 인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면서 늦가을의 나무처럼 아낌없이 버릴 수 있어야 하고, 한겨울의 대지처럼 다가올 봄에 내놓을 생명체(生命體)를 위해 긴 인고(忍苦)의 시간을 보낼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난 존재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 속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학창시절 배운 숲에 대한 지식이 아니더라도 숲이 주는 고마움에 대해 우리는 알고 있다.


흔히 정신은 고결하고 물질은 천박한 듯 말하지만 그 또한 편견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빵 없이는 살 수 없지만, 빵만으로도 살 수 없기 때문이다.


과유불급(過猶不及), 즉 지나친 것은 모자람만 못하다는 것이다. 지나치게 많은 것보다 다소 모자란 듯한 것이 낫다는 의미이다. 요컨대 위만 쳐다보고 사는 사람은 언제나 갈증을 느끼지만, 아래를 보고 사는 사람은 여유가 있어 너그러워진다.


부(富)와 권한과 권력은 남을 위해 쓰여질 때 아름답고, 양심(良心)은 이기적 양심이 아닌 이타(利他)적 양심일 때 아름답다. 자신만을 생각하는 이기적, 소극적 행태의 사고(思考)로는 행복할 수 없다.


김병연 | 시인/수필가





전국

더보기
금천구 금나래중앙공원, 눈으로 보고, 체험하고, 즐기는 공원으로 새 단장 【국제일보】 서울 금천구(구청장 유성훈)는 독산동 1151번지에 위치한 금나래중앙공원을 '가든갤러리파크' 콘셉트로 새단장해 지난 1일부터 주민들에게 개방했다고 밝혔다. 금나래중앙공원은 2016년 처음 조성됐으며, 서서울미술관 건립과 연계해 리노베이션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2023년 4월부터 설계에 들어갔으며, 2025년 2월 착공해 약 8개월간의 공사를 거쳐 새롭게 문을 열었다. 새롭게 조성된 공원에는 ▲ 중앙부 잔디광장 ▲ 안양천행정협의회 기념정원 ▲ 기후동행 정원길(수경공간) ▲ 미로정원 ▲ 사계, 그리다 정원 ▲ 사계절 장미길 ▲ 큰숲정원(대왕참나무길) 등 다채로운 공간이 마련됐다. 단순히 관람하는 정원에서 벗어나 미로정원과 같은 체험형 정원을 도입해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서서울미술관과 공원 사이에는 띠 모양의 수공간을 조성해 청량감을 높이고, 열섬현상을 완화하는 등 기후변화 대응 효과도 기대된다. 큰숲정원은 기존 생육 중인 대왕참나무 하부에 아름다운 정원을 조성해, 나무 그늘 아래에서 아름다운 경관과 함께 운동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장소로 탈바꿈됐다. 아울러 구는 기존 잔디광장의 배수불량 문제를 해결해 잔디 생육 환경을 개선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