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5 (화)

  • 흐림동두천 8.6℃
  • 맑음강릉 12.6℃
  • 박무서울 10.8℃
  • 박무대전 11.3℃
  • 황사대구 11.5℃
  • 황사울산 12.1℃
  • 박무광주 10.8℃
  • 박무부산 12.1℃
  • 맑음고창 8.3℃
  • 맑음제주 15.9℃
  • 흐림강화 7.7℃
  • 맑음보은 6.9℃
  • 맑음금산 7.4℃
  • 맑음강진군 7.4℃
  • 구름조금경주시 9.5℃
  • 맑음거제 12.8℃
기상청 제공

기고ㆍ투고

【기고】 대학을 살리자 / 김병연


우리나라의 대학은 대부분의 대학이 없는 학과가 없을 정도니 백화점식 대학이다.


선진국의 대학을 보면, 우리는 대부분 미국 최고의 대학을 하버드대라고 알고 있다. 하버드대는 의학과 인문사회학의 많은 분야에서 최고를 달리고 있지만 이공계는 MIT, 칼텍, 스탠퍼드대, 버클리대, 미시간대가 미국의 5대 명문대학이다. 경영학은 스탠퍼드대가 최고이고 법학은 예일대가 최고이다.


미국뿐 아니라 일본도 인문사회학은 도쿄대가 최고이고 이공계는 교토대가 최고이다. 프랑스의 에꼴 폴리테크닉과 독일의 뮌헨공대도 특성화된 세계적 공과대학이다.


우리의 대학을 보면 인문사회학은 대부분 서울대가 최고이다. 하지만 이공계는 카이스트가 부동의 1위, 포항공대 2위, 서울대 3위이다.


의학은 제75회 의사고시 학교별 합격률을 보면 서울대 84.4%, 고려대 92.6%, 연세대 88.8%, 차의과학대 100%이다.


사범대는 교원임용고시 합격률이 한국교원대가 서울대를 앞지른 지 오래되었다.


자원빈국인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인재양성을 위한 선택과 집중으로 대학을 특성화해야 한다.


대학은 구조적으로 구직자가 일자리보다 크게 많아졌다. 이런 취업 환경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 대학들이 성적을 남발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 되고 보니 학점이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취업지원자의 성적은 이제 지원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지 못한지 오래다.


대학은 학생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 제대로 평가하려면 학생 평가방식을 절대평가에서 상대평가로 바꾸되, 학점별 강제분포비율을 적용해야 한다. 이를 법률이나 대통령령으로 정하여 대학마다 학점별 비율을 일정하게 하고 학점의 변별력을 높여야 한다. 학점에 대한 장기적 불신은 대학의 불신으로 이어지고 대학 붕괴라는 비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학은 학생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


늦었지만 대학을 특성화하고 학생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 그것은 대학을 살리는 길이다.


김병연 | 시인/수필가





전국

더보기

피플

더보기
외교부, 흑백요리사 셰프·박세리 등 문화외교자문위원 위촉 (서울=연합뉴스) 외교부는 17일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에 출연해 더 유명해진 조셉 리저우드 셰프와 '골프 전설' 박세리 등을 제7기 외교부 문화외교 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고 밝혔다. 이날 위촉된 7기 자문위원으로는 조셉 리저우드 레스토랑 '에빗' 오너셰프와 박세리 바즈인터내셔널 대표, 금융인이자 방송인으로 한옥 등 한국 문화를 알려온 마크 테토 TCK인베스트먼트 공동 대표이사 등이 포함됐다. 또 뉴욕 타임스스퀘어에서 폭포를 디지털로 구현해 화제가 된 디지털 디자인 업체 '디스트릭트'의 이성호 대표, 음악을 통한 재능 기부 활동을 해온 세계적인 바이올리니스트 한수진이 자문위원으로 위촉됐다.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장, 김장언 서울시미술관협의회 이사, 신춘수 오디컴퍼니대표, 안미희 전 경기미술관장, 양정웅 극단 여행자 대표, 인재진 자라섬청소년재즈센터 이사장, 최영인 SBS 스튜디오 프리즘 예능부문대표 등도 자문위원이 됐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위촉식에서 한국의 국격을 높이고 긍정적인 국가 브랜드를 확산하기 위해 공공문화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외교부의 다양한 문화외교 활동에 있어 자문위원들의 전문적인 조언과 기여에 기대를 표명했다. 외교부는 창의적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