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정부 100대 국정과제인 국가식품클러스터 사업 본격 추진될 계획
국가식품클러스터 사업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여 향후 본격 추진된다.
농식품부는 2010~2015년까지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 국내 최초의 국가식품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식품전문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국가식품클러스터는 핵심 R&D기반과 기업지원시설, 서비스를 집적화하여 아시아 식품시장의 허브로 만들기 위해서 이명박 정부 100대 국정과제로 선정되어 추진되어 왔다.
※ 예비타당성조사 : 총 사업비 500억원 이상, 국비 지원 300억원 이상 사업의 경우 기획재정부에서 경제성 및 정책적 타당성을 사전 검증하는 조사
국가 식품클러스터 사업에 따라 ‘12년까지 약 2,390천㎡(72만평)의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된다.
이와 함께 지자체가 사업시행자(예: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의하여 조성하게 되는 주거·상업용지를 포함할 경우 총 면적은 최대 3,967천㎡(120만평)에 이를 전망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2015년까지 지방비, 민자 포함하여 총 5,798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 사업비 내역 : 총 5,798억원(국고 1,557억원, 지방비 614억원, 민자 3,627억원)
※ 지자체가 사업시행자와 협의하여 조성하는 주거,상업용지를 포함할 경우, 사업비는 최대 8,100억원 수준
농식품부는 국가식품클러스터 내에 전통발효식품, 기능성식품 등 국내 농수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성장과 수출이 가능한 국내외 식품기업 145개, 민간연구소 10개 이상을 유치하는 한편, 지역의 농수산업을 근간으로 한 여타 클러스터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농수산업과 식품산업이 동반 성장토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식품전문 국가산업단지 내에서 산·학·연간 클러스터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핵심기반시설 및 운영활성화(S/W) 사업을 지원하게 된다.
우선, 식품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3대 핵심 R&D기반으로 식품품질안전센터, 식품기능성평가센터, 식품패키징센터를 구축한다.
① 품질안전센터 : 식품품질안전 관련 기술 개발, 수입국이 요구하는 안전 검사, 컨설팅 등 안전한 식품생산?수출을 위한 일체의 기능 수행
② 기능성평가센터 : 기능성평가 및 신소재개발 등 기능성 식품을 통한 식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능 수행
③ 패키징센터 : 친환경 포장소재 연구, 포장설계기술, 포장 표준화 작업 등 포장관련 기술 개발 등에 주력
이와 함께, 임대형공장, Pilot Plant 등 2개 기업지원시설과 농식품부 산하기관으로 국가 식품클러스터의 시설을 총괄 관리할 클러스터 지원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
① 임대형공장 : 중소식품업체가 입주하여 생산 활동을 할 공장시설
② Pilot Plant : 식품업체가 개발한 신제품을 시험 생산할 수 있는 시설
③ 클러스터지원센터 : 국가식품클러스터 내 시설 관리와 입주업체 등에 필요한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한 총괄기관
아울러, 식품특화기술 R&D, 식품기능성평가, 인력양성, 마케팅지원 등 4개 기업지원사업을 향후 예산에 반영하여 중점 지원한다.
앞으로 농식품부는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국가산업단지 조성 절차 진행, 기업유치 활동, 법적 근거 및 추진주체 마련 등 후속조치를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우선, 국가식품클러스터를 국가산업단지로 조성하기 위해 국토해양부 등 관련기관과 협의 진행해 나가고, 기업유치는 클러스터 성공의 중요 요소이므로, 국내외 식품기업 대상 투자유치, 홍보 활동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 특히, 외국인투자지역 지정을 통해 농수산식품의 외자유치 거점으로 육성
식품산업진흥법을 개정하여 국가식품클러스터 추진에 필요한 법적 근거를 보완하는 한편,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총괄 추진할 추진단을 농식품부 내에 구성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