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방송콘텐츠 지원센터 건립’ 추진, ‘단막극 제작지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는 방통융합 및 양방향 서비스의 도래, 디지털 전환 등 급변하는 방송시장에 부응, 양질의 방송콘텐츠 제작 환경 개선과 더불어 한류의 지속발전을 위한 방송영상콘텐츠 진흥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2010년에는 외주 제작사의 제작 비용 절감과 HD 방송프로그램의 원활한 제작을 위한 HD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제작 집적시설 구축, 경제 위기로 인해 방송사의 프로그램 편성에서 제외되어 종영 되었던 단막극 부활을 위한 지원사업, 해외수출, 마케팅 등을 전문적으로 담당 할 수 있는 드라마프로듀서 스쿨 개설 등을 신규로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방송 디지털 전환과 종합편성채널 등 신규채널 증가, 뉴미디어 확산 등 미래 방송콘텐츠산업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비하여 문화체육관광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공동으로 방송콘텐츠산업 관련 집적시설인 디지털방송콘텐츠 지원센터를 경기도 고양시 한류월드에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총 1,993억을 투입하여 건립할 예정이다.
이 시설은 연면적 55,952㎡, 지상 13층, 지하 4층 규모로 스튜디오 (6실), 종합편집실(6실), 1:1편집실(10실), 녹음실·더빙실(2실), HD 중계차(1대) 등으로 구성되어지며, 동 시설에서는 또한 제작지원, 전문인력교육, 컨설팅 지원, 비즈니스 지원 등을 체계적으로 할 계획이다.
새로운 콘텐츠 수요를 위한 방송사들의 자체제작시설은 부족한 실정으로, 일반PP, 독립제작사 등이 이용할 수 있는 HD급 방송영상 공동제작 시설은 상암동 DMS가 유일하며, DMS의 2008년 가동률도 90%가 넘는 등 2012년 지상파 디지털 전환 이후 필요한 제작시설 수요에 비하여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방송콘텐츠 기반시설 구축으로 PP 및 독립제작사 등 방송콘텐츠 제작사의 방송콘텐츠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출가들에게는 실험의 장, 작가들에게는 창작의 장, 신인 연기자들에게는 출연의 장이 되는 등용문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막극은 지상파 방송 3사의 경제위기에 따른 방송사 경영악화 등의 사정으로 폐지되었다.
'남과 여(SBS)‘2004. 2월 폐지), '베스트 극장(MBC)‘(2007. 5월 폐지), '드라마 시티(KBS)’(2008. 3월 폐지) 등 단막극은 방송종사자의 인큐베이터였으며, 시청률을 의식하지 않고 형식과 내용 등에서 다양성과 독창성을 실험할 수 있는 무대의 역할을 그동안 수행해 왔다.
예를 들어, ‘커피프린스 1호점’의 이윤정PD(단만극 ‘태릉선수촌’ 연출), ‘내이름의 김삼순’의 김도우 작가(단막극 ‘액션 배우 정맑음’ 집필), ‘그들이 사는 세상’의 노희경 작가(단막극 ‘세라와 수지’ 집필)와 연기자로는 이선균(단막극 ‘거미여인의 사랑법’ 출연), 수애(단막극 ‘짝사랑’ 출연) 등은 단막극을 통해 배출된 대표적인 케이스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는 ‘TV단막극’ 제작지원 사업을 2010년 신규로 총 5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연간 10여편의 작품을 제작 지원할 예정이며, 드라마 제작사에서 제작된 단막극은 추후 방송사의 단막극 전용 편성을 위한 단막극 존을 통해 편성 방영 될 것이다.
단막극 제작지원을 통한 드라마의 소재와 형식에서의 지평 확대는 한국 드라마의 발전과 한류의 재도약에 기여할 것이며, 그동안 콘텐츠의 부재에 목마른 시청자들에게도 다양한 영상을 제공해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류의 킬러콘텐츠로서 TV드라마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적인 프로듀서를 양성하는 ‘드라마프로듀서스쿨’ 과정(연 20명 소수정예, 8개월 교육)이 신설된다.
‘드라마프로듀서스쿨’의 신설은 현재 국내 드라마제작이 주로 연출가 중심으로 이루어져 제작여건 및 마케팅 측면에서 한계가 있는 점을 감안하여, 연출 이외의 기획/제작/마케팅 등의 변수를 총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매니져인 프로듀서에 대한 교육 인프라 조성의 필요성을 반영한 것이다.
드라마프로듀서 과정은 외주 독립 드라마제작사 및 프리랜서 프로듀서를 대상으로 8개월간 20여명의 소수정예로 이루어질 예정이며, 동 과정에서는 드라마 기획, 스토리텔링, 제작, 마케팅, 파이낸싱(재원조달), 법률, 재무회계 등 통합 메커니즘 교육 등에 중점을 두고 최우수 강사진 및 일대일 교육생 관리로 현업 최고 전문가 노하우 전수 및 공유의 장으로 꾸며질 예정이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양성된 전문 드라마프로듀서는 TV드라마를 비롯한 다양한 방송영상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는 독립 외주 드라마제작사의 마케팅 역량 강화와 경영 여건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