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

지난해 종합건설업체 폐업신고 641건…19년 만에 최대

건설물가 오르고 취업자 감소…"전형적인 건설 경기 침체 상황"


(서울=연합뉴스) 지난해 종합건설기업이 폐업 신고를 한 건수가 641건으로 19년 만에 최대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종합건설기업의 폐업 신고는 전년보다 60건(10.3%) 증가한 64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2005년(629건) 이후 최대치다. 

폐업 신고는 2021년 305건에서 2022년 362건으로 증가한 후, 2023년(581건)에 이어 지난해까지 3년 연속 증가했다. 

반면 작년에 새로 등록된 종합건설기업은 가장 최근 집계인 지난해 10월 기준 1만9천242곳으로, 전년 말(1만9천516곳)보다 274곳(-1.4%) 줄었다. 

부문별로 건축업(1만493곳)이 전년 말보다 225곳(-2.1%) 감소했다. 

토건(3천44)은 38곳(-1.2%), 토목(5천222곳)은 21곳(-0.4%)이 줄었다.

폐업한 기업은 늘고 새로 등록한 기업이 줄어든 것은 건설 경기가 좋지 않다는 방증이다. 

실제로 건설 투자는 줄고 건설업 취업자 수는 감소 추세다.

건설 투자를 나타내는 건설기성액은 지난해 11월 13조9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7% 축소됐다.

지난해 6월 15조7천억원이었던 건설기성액은 7월 13조2천억원으로 하락한 후 11월까지 5개월 연속 감소했다. 

부문별로 특히 건축 기성(10조2천억원)이 전년 동월 대비 14.5% 하락했다. 

주택 건축(6조4천억원), 비주택 건축(3조8천억원) 각각 15.7%, 12.3% 감소했다.

토목 기성은 3조7천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 늘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11월 건설 공사비 지수는 130.3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9% 상승해 건설 물가가 더욱 올랐음을 나타냈다.


같은 기간 건설업 취업자는 209만명으로 4.4% 감소했다. 

취업자는 전월 대비로는 지난 5월(-2.2%)부터 7개월 연속 줄었다. 

2023년 하반기부터 지난해 초까지 건축공사 마감 공사에 많은 인력이 투입됐는데 지난해 5월부터 이들 공사가 완공되면서 건축 현장도 많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건산연 관계자는 "폐업 업체 수는 증가하고 등록업체 수는 위축되는 가운데 건설업 취업자 수가 감소하는 등 전형적인 건설경기 침체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전국

더보기
대구시교육청, 학교폭력의 교육적 해결 위한 학생 주도 워크북 '성찰 발자국' 발간 【국제일보】 대구시교육청(강은희 교육감)은 학교폭력 등 학생 간 갈등 사안을 교육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워크북 '성찰 발자국'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대구시교육청은 사법적 해결이 늘어가고 있는 학교폭력 사안을 교육적으로 풀어내기 위해 올해부터 '갈등조정지원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상반기 동안 42건의 사안을 자체 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 워크북은 '갈등조정지원단' 피해회복 프로그램의 하나로 학교폭력 관련 학생의 변화를 돕고, 교사와 학생이 함께 반성과 회복을 동행할 수 있는 학생 주도 실습형 교육자료로서 개발됐다. 자기성찰, 준법, 책임 반성, 성장 변화 등 4가지 영역의 흐름으로 구성돼,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되돌아보고 직접 제시한 과제를 수행하며 자신의 행동에 대한 반성과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특히, 워크북의 세부 제목은 학생 개별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해 과제 수행의 책임감을 부여하고 과제 노출을 최소화했다. 이 워크북은 갈등조정지원단 운영 시 관련 학생에게 제공해 조정 과정에 활용되고, 각 학교에서 학교폭력 예방 및 사안처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시교육청 누리집(https://www.dge.go.kr)을 통해 전자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