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20.7℃
  • 구름조금강릉 17.2℃
  • 맑음서울 20.0℃
  • 맑음대전 21.5℃
  • 맑음대구 23.8℃
  • 맑음울산 23.8℃
  • 맑음광주 20.7℃
  • 맑음부산 21.2℃
  • 맑음고창 17.4℃
  • 맑음제주 18.1℃
  • 맑음강화 18.3℃
  • 맑음보은 20.3℃
  • 맑음금산 20.6℃
  • 맑음강진군 20.9℃
  • 맑음경주시 24.3℃
  • 맑음거제 19.3℃
기상청 제공

정치

새마을금고 안정세에도 작년 역대 최대 손실 1조7천억(종합)

2024년 영업실적 발표…1조5천억 늘어난 대손충당금 적립이 적자 배경
연체율 점차 하락·유동성 높은 수준…행안부, 올해도 건전성 관리 '올인'

(서울=연합뉴스) 2023년 여름 '뱅크런'(현금 대량 인출사태) 사태에 몰렸던 새마을금고가 작년 연체율이 점차 하락하고 유동성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전반적으로 안정세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대손충당금 적립비용이 큰 폭으로 늘면서 손실액은 역대 최대 규모인 1조7천여억원을 기록했다.


21일 행정안전부가 낸 '1천276개 새마을금고 2024년 영업실적(잠정) 발표'에 따르면 총자산은 작년 말 288조6천억원으로 전년도 말(287조원)보다 0.6% 증가했다.

총수신은 258조4천억원으로 2023년 말(254조9천억원)보다 1.4% 늘었다.

총대출은 183조7천억원으로 2023년 말(188조1천억원)보다 2.3% 줄었다. 이중 기업대출(107조2천억원)은 0.2%, 가계대출(76조5천억원)은 5.2% 각각 감소했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전체 연체율은 2024년 말 기준 6.81%로, 같은 해 6월 말보다 0.43%포인트 하락했다. 2023년 말보다는 1.74%포인트 올랐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0.41%로, 2023년 말 대비 2.67%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1.75%로 전년도 말보다 0.23%포인트 올라갔다.

행안부는 "2024년 초 전 금융권과 더불어 새마을금고의 연체율도 상승했으나 목표관리, 연체채권 매각 등 적극적이고 집중적인 건전성 관리 결과 연말 연체율이 6월 말보다 하락하는 등 점차 안정화됐다"고 평가했다.

순자본비율은 8.25%였다. 2023년 말보다 0.35%포인트 하락했지만, 2024년 6월 말과 비교해선 0.04%포인트 상승했다.

손익에서는 순손실이 1조7천382억원 발생했다. 1963년 금고 설립 이후 최대치라고 새마을금고중앙회 측은 전했다. 새마을금고는 2023년에는 86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한 바 있다.

이는 손실 흡수능력 제고를 위한 대손충당금 적립 비용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대손충당금은 금융회사가 대출채권 일부의 회수가 어려울 것에 대비해 사전에 쌓아두는 준비금 성격의 돈이다.

금고의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2023년 말 5조4천558억원에서 작년 말 7조205억원으로 1조5천647억원이 증가했다. 역대급 순손실로 인해 금고별로 회원 배당 제한 가능성이 커졌다.

행안부는 "건전성 관리를 위해 대손충당금을 엄격하게 적립하고 적극적으로 연체채권을 매각한 결과 2024년 순손실이 발생했다"며 "건전 가계대출 확대, 사업예산 절감 등 경영효율화를 통해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지도해 순자본비율이 규제비율을 2배 이상 상회하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년 말 기준 예수금은 258조4천억원으로 전년도(254조8천억원)에 이어 안정세를 보였다. 가용 유동성은 68조8천억원으로 시장 충격에 충분한 대응이 가능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행안부는 전했다.

행안부는 올해도 새마을금고 건전성 관리에 집중할 계획이다.

올해 7월 새마을금고법 시행에 따른 자산관리회사 설립을 추진 중이며 향후 이 회사를 통해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새마을금고 부실채권을 정리할 방침이다.

또 부실 우려가 있는 금고를 인근 금고와 합병해 우량화하는 작업과 개별금고에 대한 합동감사 실시 등 금융당국과 협력도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전국

더보기
충북도, 청년·청소년 금융교육 활성화 추진 【국제일보】 충북도는 28일(월) 도 소회의실에서 금융감독원, 충청북도교육청, 하나금융그룹과 함께 충북도 청년·청소년 금융교육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4개 기관의 대표인 김영환 충청북도지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윤건영 충청북도교육감, 함영주 하나금융그룹회장이 참석했으며, 도내 금융교육 생태계 조성 및 충북도민의 금융문맹률 제로 실현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도내 청년센터를 방문해 청년들의 관심사에 맞는 금융교육 특강을 지원하고, 청년들의 자산 형성과 경제적 자립을 위한 맞춤형 재무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충북 소재 초·중·고교 1사1교 금융교육 확대 ▲어린이 금융스쿨 신규 도입 ▲어린이 경제 뮤지컬 ▲청소년 도박 예방 뮤지컬 ▲행복 AI 코딩스쿨 등 흥미를 유발하는 체험형 교육도 제공하기로 했다. 이 외에도 금융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의 금융특강과 금융사기 피해예방 교육 등도 진행할 예정이다.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오늘 귀한 뜻을 모아준 금융감독원, 도교육청, 하나금융그룹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이번 금융교육 업무협약을 통해 청년 및 청소년이 스스로 건강한 금융 생활을 꾸려나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