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6일 김대경 전 대통령경호처 지원본부장을 소환했다.
내란 특검팀은 이날 오전 김 전 본부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김 전 본부장은 계엄을 사전 모의한 혐의를 받는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의 비화폰 지급 과정에 연관됐다는 의혹을 받는다.
특검팀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계엄 선포 전날인 지난해 12월 2일 대통령경호처에서 비화폰을 지급받은 뒤 이를 내란 공범이자 민간인인 노 전 사령관에게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사용자명이 '테스트' 그룹으로 설정된 비화폰은 대통령, 1부속실장, 수행실장, 경호처장, 경호차장, 국방부 장관과 통화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는데, 김성훈 경호처 전 차장이 김 전 본부장에게 지시해 이같이 설정된 비화폰 1대를 건네받고 전달했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수사 결과다
특검팀은 김 본부장을 상대로 계엄 사태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이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이진우 전 육군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의 비화폰 삭제를 지시한 의혹도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지난달 윤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그가 김 전 차장에게 내란 혐의로 수사 대상이 된 군사령관 3명의 비화폰 정보를 삭제할 것을 지시했다고 적시했다.
김 전 차장은 이후 비화폰 담당자인 김 전 본부장에게 이러한 내용을 전달했다. 김 전 본부장은 이를 사실상 지시로 받아들였지만, 실제 삭제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