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

블룸버그 "삼성은 왜 AI 경쟁서 뒤처졌나…재기 지켜봐야"



(서울=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연산에 쓰이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에 뒤처지며 고전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8일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날 공개한 '삼성은 'AI 모먼트'를 어떻게 놓쳤나'(How Samsung Missed the AI Moment)란 제목의 오리지널 동영상 다큐멘터리에서 "삼성의 운명은 한국 경제에도 중요하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 매체는 삼성전자에 가장 비중이 큰 제품은 이익의 약 50∼70%를 차지하는 메모리 반도체인데 첨단 AI 경쟁에서 이 제품이 핵심으로 부상한 가운데 삼성이 이 경주에서 밀리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삼성의 작은 경쟁자에 불과했던 SK하이닉스는 2013년 미국 반도체 업체 AMD와 손잡고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인 HBM을 개발했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초기만 해도 HBM은 틈새시장인 비디오게임용 제품에 불과했다. 하지만 오픈AI의 챗GPT 출시로 생성형 AI 시장이 활짝 열리며 AI 연산에 특화된 이 칩의 수요가 폭증했다.

하지만 이때 삼성은 HBM에 충분히 투자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SK하이닉스는 AI 칩 시장의 공룡인 엔비디아의 주요 공급처가 되며 일반 메모리 제품보다 수익이 훨씬 높은 HBM 시장의 62%를 장악하게 됐다.

반면 삼성은 올해 2분기 기준 전 세계 HBM 시장의 17%만 확보한 가운데 엔비디아에 납품할 수 있도록 이 회사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하려고 애쓰고 있다.

블룸버그는 "삼성은 차세대 칩으로 시장 경쟁에 다시 뛰어들겠다고 말하고 있다"며 "그럴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국

더보기
강릉시, 공공하수처리시설 수명 늘리고 비용 줄인다 【국제일보】 강릉시가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설비 노후화 및 비효율적인 운영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수조사와 설비이력카드제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설비 보수 개선방안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관리대행사의 실적 보고에 의존해 수시로 설비 상태를 점검하고 일부 설비만을 내용연수에 따라 교체하는 방식으로 운영돼, 체계적인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와 같은 한계에서 벗어나고자 강릉시는 공공하수처리시설 설비 2,413대를 전수조사하고, 설비이력카드제를 도입해 설비별 수명과 상태를 정기적으로 기록·관리하는 개선안을 마련했다. 전수조사 결과 설비의 평균 사용연수는 15년으로, 평균 내용연수인 10년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오는 2030년까지 매년 12월 내용연수가 경과된 설비를 전수조사해 설비 상태를 확인 및 필요시 교체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향후 평균 사용연수 기반의 데이터 중심 평가체계를 통해 설비의 실제 상태에 따른 합리적인 보수·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방침이다. 이러한 체계적인 방식 도입으로 2030년 이후에는 연간 약 25억 원의 유지관리비가 절감되고, 데이터 기반 보수계획 수립으로 하수처리시설 전반의 운영 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홍규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