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0.8→0.9%로 높여…추경 효과 반영(종합)

내년 전망치는 1.6%로 유지…美 관세 불확실성 여전
물가상승률 전망은 1.9→2.0%…내년도 1.8→1.9%



(서울=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0.8%에서 0.9%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한은은 28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9%로 제시했다.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효과 등을 반영해 지난 5월 전망보다 0.1%포인트(p) 높였다. 

한은은 올해 전망치를 지난 2023년 11월(2.3%) 이후 지난해 5월(2.1%), 11월(1.9%), 올해 2월(1.5%), 5월(0.8%) 등으로 지속해서 낮추다 이번에 처음 높였다. 

이번 한은 전망치 0.9%는 국제통화기금(IMF)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각각 제시한 0.8%보다 높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제시한 1.0%보다 낮은 수준이다.

또 지난달 말 기준 주요 해외 투자은행(IB) 8곳 평균 전망치(1.0%)보다 낮고 정부 전망치와는 같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초 외신 인터뷰에서 "1·2차 추경이 올해 성장률을 약 0.2%p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총 13조8천억원 규모의 1차 추경은 기존 전망에 이미 반영했고, 31조8천억원 규모의 2차 추경을 이번 전망에 추가했다.

한은은 소비자심리지수가 개선되고 실제 민간소비 회복으로 이어지고 있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4일 그린북에서 건설투자 회복 지연, 취약 부문 고용 애로, 수출 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지만, 소비가 증가세로 전환되는 등 경기 회복 신호도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22일 발표한 경제성장전략에서는 하반기부터 추경 등 정책 효과가 나타나면서 소비를 중심으로 성장이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KDI도 지난 12일 경제전망에서 "하반기 이후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부진이 다소 완화될 전망"이라고 했다.

미국 관세 불확실성과 그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가 여전하지만, 이번 전망에서 큰 변수로 작용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지난 5월 경제전망 때 미국 기본 관세가 10%, 품목 관세가 25%로 결정되는 기본 시나리오를 전제로 했다.

이후 통상 협상과 최근의 한미정상회담 결과는 이런 시나리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수준이라는 게 한은 설명이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의 경우 1.6%를 유지했다.

성장률이 2년 연속 2%를 밑도는 저성장 흐름은 역대 처음이지만, 그나마 경기가 올해 바닥을 찍고 반등할 것으로 보는 셈이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1.9%에서 2.0%로 높였다.

원/달러 환율이 다시 1,400원에 육박한 가운데 폭염, 폭우 등 계절적 요인에 따른 물가 상승 요인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역시 기존 1.8%를 1.9%로 높였다.





피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