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학부모 10명 중 4명은 초중고생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등을 지도하는 데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초중고생 학부모 9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녀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기기 사용을 지도하는 것이 스트레스가 된다고 답한 비율은 40.5%였다. 스트레스가 아니라고 응답한 부모는 22.8%였다.
아울러 지도하는 것이 너무 벅차다고 답한 이들은 34.6%였다. 벅차지 않다고 반응한 부모는 30.3%였다.
특히 자녀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기기를 사용하는 것에 관해 부모가 어떤 측면에서 어떻게 개입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응답은 39.9%에 달했다.
학부모 다수는 자녀의 디지털 기기 사용에 부모가 개입하거나 이를 지도하는 이른바 '디지털 페어런팅'(digital parenting)에 관한 체계적 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응답자의 88.2%는 '부모 대상 디지털 페어런팅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전체 응답자의 79.5%는 자녀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기기 사용을 지도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를 실천하는 이들의 비율은 61.6%에 그쳤다.
디지털 페어런팅을 하는 비율은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높았다. 아울러 농어촌이나 중소도시보다 대도시에 사는 이들이 더 많이 지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디지털 페어런팅에 관한 사회경제적 격차에 대해 "단순한 정보 접근의 불평등을 넘어, 자녀를 둘러싼 디지털 양육 환경의 질적 차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부모 대상 디지털 페어런팅 교육은 지역과 계층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 정책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번 조사는 디지털 페어런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의뢰로 리서치 전문업체 ㈜에스티아이가 지난달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