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여자 프로배구 흥국생명이 IBK기업은행을 제물 삼아 파죽의 14연승으로 팀 최다 연승 신기록을 세웠다. 흥국생명은 13일 경기도 화성체육관에서 열린 도드람 2024-2025 V리그 여자부 원정경기에서 14점을 뽑으며 역대 여섯번째로 통산 5천득점을 돌파한 김연경을 앞세워 IBK기업은행을 3-0(25-10 25-23 25-19)으로 완파했다. 이로써 흥국생명은 개막 후 한 번도 지지 않고 파죽의 14연승을 기록, 지난 2007-2008시즌의 13연승을 넘어 구단 신기록을 작성했다. 흥국생명은 한 경기만 더 이기면 현대건설이 두 차례(2021-2022, 2022-2023시즌) 달성한 V리그 여자부 단일시즌 최다 연승 기록(15연승)과 타이를 이룬다. 통산 5천득점에 13점을 남겨뒀던 김연경은 이날 14점을 보태 역대 여섯 번째로 대기록을 작성했다. 흥국생명의 외국인 선수 투트쿠 부르주 유즈겡크(등록명 투트쿠·16점)와 아시아쿼터 아닐리스 피치(등록명 피치·9점)도 25점을 합작하며 승리를 거들었다. 반면 IBK기업은행은 4연패 부진에 빠져 시즌 8승6패로 4위에 머물렀다. 흥국생명이 첫 세트 초반부터 IBK기업은행 코트를 맹폭했다. 1세트 3-
(서울=연합뉴스)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는 12일 서면으로 임시총회를 열어 부회장 22명, 감사 2명, 이사 27명을 선임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들의 임기는 2026년 정기총회까지다. 이날 선임된 임원은 다음과 같다. (성명 가나다순) ◇ 부회장 ▲ 강병균 부산일보 논설실장 ▲ 김광덕 서울경제 부사장·논설실장 ▲ 김영희 한겨레 편집인 ▲ 김용주 OBS 보도국장 ▲ 김태균 서울신문 콘텐츠본부장·편집인 ▲ 맹태훈 대전일보 뉴스국장 ▲ 박성원 전남일보 편집국장 ▲ 박장호 MBC 보도본부장 ▲ 선우정 조선일보 편집국장 ▲ 신종수 국민일보 편집인 ▲ 심인성 연합뉴스 편집총국장 ▲ 예영준 중앙일보 편집국장 ▲ 유병권 문화일보 편집국장 ▲ 이기수 경향신문 편집인·논설주간 ▲ 이심기 한국경제 편집국장 ▲ 이용성 경기일보 편집이사 ▲ 이재환 KBS 보도시사본부장 ▲ 이춘수 매일신문 편집이사 ▲ 정용관 동아일보 논설실장 ▲ 정운갑 MBN 논설실장(앵커) ▲ 조정 SBS 보도본부장 ▲ 황정미 세계일보 편집인 ◇ 감사 ▲ 윤정호 TV조선 보도본부장 ▲ 선상원 아주경제 편집국장 ◇ 이사 겸 위원장 ▲ 안성용 CBS 보도국장(편협 발전 특별위원회 위원장) ▲ 최미화 대구일보 편집인·
(서울=연합뉴스) 제5회 한중일 스포츠 장관회의가 14∼15일 이틀간 일본 도쿄에서 열린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3일 "최보근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과 일본 문부과학성 아베 도시코 대신, 중국 국가체육총국 장자성 부국장 등 3국 대표는 ▲ 스포츠 교류와 협력 증진 ▲ 반도핑 협력 강화 ▲ 청소년 스포츠 교류 활성화 ▲ 선수 보호 정책 강화 등의 정책적 협조 사항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중일 스포츠 장관회의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 2020 도쿄 하계올림픽,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 흐름 속에 2016년 평창에서 처음으로 열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대면 회의를 하는 건 2018년 이후 6년 만이다. 문체부는 "일본과 중국에 상호 협력과 교류 증진을 위한 '2025년 탁구 국가대표 친선 대회' 개최, 공정한 스포츠 구현을 위한 반도핑 협력 강화 등을 제안할 예정"이라고 했다.
(서울=연합뉴스) 주오사카한국문화원이 개원 25년 만에 독립청사를 마련하고 새출발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3일 주오사카문화원이 국유화에 따른 청사 이전을 마치고 이날 재개원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2016년부터 건물 매입을 통해 그동안 청사를 임차해 운영하던 재외한국문화원을 국유화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주오사카문화원은 오사카시 키타구 소재 8층 건물을 매입해 전 세계 35개 문화원 중 13번째 국유화 문화원이 됐다. 1999년 개원한 문화원은 2007년부터 민단 오사카본부 건물 4층을 임차해 사용해왔다. 새 청사는 기존보다 약 5배 넓은 연면적 4천455㎡ 규모로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영상전시실, 한국문화체험관 등이 갖춰졌다. 또 한국 관련 도서 5천여 권을 보유한 도서실과 180석 규모의 공연장도 새롭게 들어섰다. 이날 재개원식에는 최보근 문체부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과 사이토 데쓰오 일본 공명당 대표를 비롯해 일본 문화청과 외무성, 나라현 등 한일 양국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한다. 소리꾼 이희문의 '축원 덕담' 공연과 문화원의 무사태평과 참석자들의 안녕을 기원하는 한국 전통 제례문화 '서리화 꺾기'로 행사의 시작을 알린다. 이어 한일 양국 음악
(서울=연합뉴스) 국가유산청은 국가무형유산 완초장(莞草匠) 보유자로 유선옥(70) 씨를 인정했다고 13일 밝혔다. 완초장은 논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1∼2년생 풀인 왕골로 돗자리, 방석, 작은 바구니 등의 공예품을 만드는 기능 또는 그런 기능을 보유한 장인을 뜻한다. 왕골 재배지인 강화도 교동 출신인 유선옥 씨는 1967년 입문해 스승이자 남편인 고(故) 이상재 보유자와 함께 작업하며 기능을 익혔다. 2004년 전승교육사로 인정받은 뒤에는 부부가 함께 완초장 보전·전승을 위해 힘써왔다. 유씨는 올해 인정 조사에서 섬세하고 세밀한 기술로 전승 기량이 탁월하고, 57년 동안 완초 공예에 매진하며 전승 활동을 꾸준히 이어왔다는 평가를 받았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완초장은 보유자 없이 전승교육사 1명만 남아 있던 상황이었다"며 "보유자를 새로 인정하면서 향후 전승 현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롯데는 내년 3월 16일까지 잠실 롯데월드타워 내 롯데뮤지엄에서 '디 아트 오브 주얼리(The Art of Jewellery): 고혹의 보석, 매혹의 시간' 전시회를 한다고 12일 밝혔다. 전시회에서는 세계적인 보석 수집가인 카즈미 아리카와의 소장품 중에서 역대 최대 규모인 208점을 선보인다. 9개 섹션으로 나눠 5천년 보석 역사의 중요한 장면을 조명한다. 전시회를 통해 고대와 중세, 르네상스, 17∼18세기 유럽, 19세기 나폴레옹·빅토리아 시대 등의 시기별 보석 예술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고 롯데는 소개했다. 대표 작품은 르네상스 거장 발레리오 벨리가 남긴 3점의 십자가 작품 가운데 하나인 '크로스'(Cross)가 있다. 영국 런던의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과 바티칸 사크로 박물관에 한점씩 소장돼 있는데 나머지 한점이 이번에 대중에게 최초로 공개됐다. 독일 뷔르템베르크 왕가의 파뤼르, 루미니 후작 부인의 파뤼르 등도 주목받는 작품이다. 전시회 공간 디자인은 세계적인 건축가 쿠마 켄고가 맡았다. 보석 고유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내 분위기를 연출했다고 롯데는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2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확대기관장회의를 열고 철저한 업무 수행을 당부했다. 유 장관은 12·3 비상계엄 사태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상황과 관련해 "외부 환경에 직원들이 동요하지 않도록 각 기관장이 리더십을 갖고 업무를 빈틈없이 준비하라"고 지시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 감소로 인한 관광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해외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한국 여행에 대한 불안감과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데 관련 기관들이 주력해 줄 것을 주문했다. 또 콘텐츠 지원기관들에는 해외 수출과 투자 등을 차질 없이 지원할 수 있게 준비하라고 당부하고, 박물관과 미술관 등 문화기관들에는 문화가 국민에게 힘과 위로를 줄 수 있도록 관련 업무를 세밀하게 챙기라고 말했다. 유 장관은 7조672억원으로 확정된 2025년도 예산과 관련해서도 내년 추진 업무의 사전 계획을 철저히 수립하고 신속한 예산 집행을 빈틈없이 챙기라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어릴 때부터 엄마, 아빠, 매니저, 튜터와 함께 굉장히 바쁘게 다녔어요. 지금은 같이 연주하고 싶은 오케스트라, 듀오 파트너와 사랑하는 레퍼토리를 짜면서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할 수 있죠. 그래서 예전보다 매 연주를 훨씬 즐기며 하는 것 같아요." 내년 데뷔 35주년을 맞는 바이올리니스트 사라 장은 9일 서울 서초구 코스모스아트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대 때보다 40대가 된 지금 음악을 더 즐기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1990년 9세에 거장 주빈 메타가 지휘하는 뉴욕 필하모닉과의 협연으로 화려하게 세계 무대에 데뷔했다. '신동의 아이콘'으로 불린 그는 어느덧 35주년을 앞뒀다. 12월이면 한국을 찾곤 했던 사라 장은 올해도 이달 서울을 비롯해 성남, 울산, 고양, 익산, 청주, 인천, 대구, 경주, 평택, 부산, 광주, 강릉 등 13개 도시에서 공연한다. 서울 공연은 29일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이번 투어에서는 브람스와 프로코피예프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 무대를 선보인다. 브람스의 초기작인 소나텐사츠 c단조와 그의 마지막 바이올린 소나타인 소나타 3번, 프로코피예프 소나타 2번을 연주한다. 피아니스트 훌리오 엘
(스톡홀름=연합뉴스) "하얀 것은 본래 아무것도 아니지만, 그 아무것도 아닌 것 속에 모든 것이 들어있다."("White, by nature is nothing at all, but within that nothingness, everything exists.") 6일(현지시간) 오후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 시청 건물 외벽에 소설가 한강의 사진과 함께 한글 문장이 떠오르고, 곧이어 같은 자리에 영어로 번역된 문장이 나타났다. 노벨 재단은 이를 "소설 '흰'(영어 제목 'The White Book')에 등장하는 문장"이라고 설명했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의 얼굴과 그의 문장이 스톡홀름을 밝히는 조명에 담겼다. 노벨재단은 '노벨 주간 조명'의 점등 준비를 모두 마치고 이날 그 의미를 설명하는 프레스투어를 진행했다. 노벨 주간 조명은 여러 예술가가 매년 새로운 주제를 담아 스톡홀름 곳곳에 설치된다. 이날 '미리 보기' 행사에서 점검을 마치고 7∼15일 공식적인 점등이 이뤄진다. 스톡홀름은 위도가 북위 59도로 높아 겨울철인 12월에는 오후 3시 이전에 해가 진다. 그만큼 기나긴 밤을 밝히는 것이 노벨 주간 조명이다. 여러 조명 중에서도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스톡홀
(서울=연합뉴스) 쇼트트랙 세계랭킹 1위 박지원(서울시청)이 쇼트트랙 월드투어 3차 대회에서 금빛 질주를 선보였다. 박지원은 7일 중국 베이징의 캐피털 인도어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4-2025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월드투어 3차 대회 남자 1,500m 결승에서 2분16초776의 가장 빠른 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준결승 1조에서 장성우(고려대)와 나란히 1, 2위를 차지해 결승에 오른 박지원은 결승 레이스 초반부터 상위권을 지키다가 4바퀴를 남긴 시점에서 한 번에 1위로 치고 나왔고, 끝까지 선두를 지켜 가장 빨리 결승선을 통과했다. 2위는 윌리엄 단지누(2분16초808·캐나다), 3위는 쑨룽(2분17초186·중국)이 차지했다. 함께 결승 레이스를 펼친 장성우는 쑨룽에 불과 0.01초 뒤져 메달을 놓쳤다. 500m에서는 박지원이 결승 최하위에 그쳤고, 파이널 B 순위결정전에서는 김태성(서울시청)이 3위, 박장혁(스포츠토토빙상단)이 4위에 올랐다. 여자 1,000m에서는 '돌아온 여왕' 최민정(성남시청)이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최민정은 커린 스토더드(미국)와 1천분의 1초까지 같은 기록(1분29초777)으로 결승선을 통과해 공동 동메달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