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2025.4.22. / 연합뉴스](http://www.kookjeilbo.com/data/photos/20250417/art_17452868452251_b6fb18.jpg)
(서울=연합뉴스) 국내 대기업 여성 평균 임금이 처음으로 남성의 70%를 넘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2일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500대 기업의 남녀 직원 평균 연봉 및 근속연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24년 기준 여성 평균 연봉은 7천405만원으로 남성(1억561만원)의 70.1% 수준이었다.
이는 2023년의 68.6%에서 1.5%포인트(p) 높아진 수치로, 2년 전의 66.9%와 비교해도 높아지며 임금 격차가 줄었다.
하지만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보면 남녀 격차는 여전히 크다.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는 9.2년으로 남성 11.9년의 77.3%지만, 연봉은 이보다 낮은 70.1% 수준이다.
이는 대기업에서 여성 비율이 전체 직원의 26.4%에 불과하고, 그중에서도 직급이 낮은 직원이 많다는 점을 방증한다고 리더스인덱스는 해석했다.
업종별로는 상사, 증권, 보험, 운송, 은행 등 분야에서 불균형이 두드러졌다.
상사업의 경우 여성 평균 근속연수는 11.3년으로 남성(10.1년)보다 길었지만, 평균 연봉은 7천만원으로 남성(1억1천510만원)의 60.8%에 그쳤다.
증권업도 여성의 근속연수가 10.8년으로 남성(10.3년)을 앞섰지만, 연봉은 남성(1억5천200만원)의 65%인 9천900만원이었다.
보험업은 남녀 근속연수가 각각 13년과 13.1년으로 비슷했다. 그러나 여성의 연봉은 8천800만원으로 남성(1억3천100만원)의 67.5%였다.
운송업은 여성의 근속연수(9.5년)가 남성(10.2년)의 92.6% 수준인데 연봉은 6천400만원으로 남성(9천700만원)의 66.2%였다.
은행업도 평균 근속연수가 남성 15.4년, 여성 14.5년으로 큰 차이가 없으나 연봉은 남성이 1억2천800만원으로 여성(9천700만원)보다 24.5% 많았다.
리더스인덱스는 "조직 내 지위와 보상 체계에서 성별 불균형이 여전하다"며 "급여 측면은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기회와 지위에서는 남성이 우위를 차지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